국무조정실 회의자료 |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안)
(부처별 회의자료)
2006. 3. 10
정 부 합 동
교육인적자원부‧외교통상부‧환경부‧산업자원부‧국정홍보처‧소방방재청‧기상청‧농촌진흥청‧산림청‧식품의약품안전청‧항공안전본부‧질병관리본부
목 차
교육분야 황사피해 방지대책(교육인적자원부)1
황사대응 국제협력대책(외교통상부)8
환경분야 황사피해 저감대책(환경부)12
산업부문 황사피해 방지대책(산업자원부)17
황사피해방지 홍보대책(국정홍보처)25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대책(소방방재청)28
황사 전망 및 예보대책(기상청)35
농‧축산분야 황사피해 예방대책(농촌진흥청)19
산림분야 황사피해 예방대책(산림청)23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대책(식품의약품안전청)41
황사대비 항공기 안전운항대책(항공안전본부)45
황사대비 국민보건 안전대책(질병관리본부)49
교육분야 황사피해 방지대책
교육인적자원부
1. ‘05 추진실적
□ 황사피해 최소화 대책 수립
○ 황사발생 단계별 조치계획 시‧도교육청에 시달(’05.03.03)
발령 단계 |
조치 사항 |
|
황사 예보 (강한 황사) |
◦ 비상대책반 설치‧운영(기상청 발표상황 수시 파악) ◦ 비상연락망 가동 준비 |
|
황사 특보 |
황사 주의보 |
◦ 비상연락망 가동 ※ 실외활동 자제 ◦ 단계별 대응조치 강구 ※ 단축수업 등 학교장 판단 |
황사 경보 |
◦ 대응조치 발령(교육감) : 지역 및 적용 학교 결정 ◦ 통일된 조치유형(단축수업, 임시휴업 등) 결정 및 보고 |
□ 비상대책반 구성‧운영 및 비상연락망 구축
○ 우리부 비상대책반 구성(반장 : 초중등교육정책과장)
○ 우리부‧시도교육청 비상연락망 구축(’05.03.18 완료)
○ 우리부 비상대책반 운영 : 황사주의보 발령(’05.04.07, ’05.04.20, ’05.11.06)에 따라 3차례 비상 근무 실시
※시‧도교육청에 발령상황 신속 전파
□ 황사피해 발생 및 조치 결과
○ 황사주의보 상태에서 소멸되어 별다른 피해사항 없음
○ 단축수업, 임시휴업 등 교육청별 일괄 조치 : “해당 없음”
※실외활동 자제, 보건교육 및 청결지도, 황사 발생 시 대응요령 교육 등 황사발생지역 해당 학교별로 학교장 재량 하에 적의 조치 실시
- 1 -
2. ‘06 추진대책
□ 황사 예보 발령 시
○ 비상대책반을 설치‧운영하여 기상청 발표상황 수시 파악
○ 시‧도 및 지역교육청, 각급학교와 체계적 비상연락망 구축을 통한 신속한 상황전파 및 대응 준비
- 교육부와 기상청간 HOT- LINE을 구축하여 황사 예보 및 특보 발령상황을 즉각 수신, 시‧도교육청에 통보
-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간 HOT- LINE을 구축하여 시‧도교육청의 대응조치 상황 신속 전파
□ 황사주의보 발령 시
○ 비상대책반 지속 가동, 상황파악
○ 시‧도교육청 대응 조치 강구
- 「황사 피해예방 단계별 행동요령」(붙임2) 참고
□ 황사경보 발령 시
○ 시‧도교육청 대응 조치 유형
- A형 : 교육감이 해당 시‧도 전역에 통일된 대응 조치 발령
- B형 : 교육감이 권역별로 통일된 대응 조치 발령
※ 교육감이 권역별 대표 교육장의 지역상황을 보고 받아 일괄 발령 조치 및 권역별 대표 교육장은 대응 조치사항을 즉시 교육감에게 보고
- C 형 : 교육감이 지역교육청별로 통일된 대응 조치 발령
※ 교육감이 지역교육청 교육장의 지역상황을 보고 받아 일괄 발령 조치 및 지역교육청 교육장은 대응 조치사항을 즉시 교육감에게 보고
○ 유의사항
- 시‧도교육감은 위 3가지 유형 중 <붙임3>에 제시된 조치 유형에 따라 해당 시‧도의 통일된 대응지침 마련
- 선택된 지침에 대하여 각급 학교를 통해 학생‧학부모에게 사전 통보하여 혼란 예방
- [붙임3]의 황사경보 발령 시 시‧도교육청별 대응조치 유형 참고
- 2 -
[붙임1]
황사 비상대책반 운영
교육인적자원부
반장 |
초중등교육정책과장 김 영 윤 |
|||||||||||||
부반장 |
연 구 관 김 학 일 |
|||||||||||||
1조 |
2조 |
3조 |
4조 |
|||||||||||
연구관 |
신원재 |
연구관 |
오석규 |
연구관 |
김계순 |
연구관 |
신병찬 |
조 관리 |
||||||
연구사 |
박미현 |
연구사 |
정양순 |
연구사 |
김석언 |
연구사 |
박중재 |
연구관 신원재 |
||||||
연구사 |
김연석 |
연구사 |
박정희 |
연구사 |
노현정 |
연구사 |
||||||||
※ 교육인적자원부 - 기상청 HOT- LINE : FAX 02- 2100- 6269
교육인적자원부 비상대책반 전화번호 : 02- 2100- 6245~6249
※ 기상청 안내 전화
■ 기상청 예보과 : 831- 0365(24시간 운영), 836- 3156
■ 기상예보 및 특보 : (지역번호)+131
■ 기상 뉴스(TV) : CH 72번
※ 시‧도교육청별 연락 담당 연구관(사)
■ 서울, 부산 : 박미현 ■ 강원, 충남 : 노현정
■ 대구, 인천 : 정양순 ■ 충남, 전북 : 박중재
■ 광주, 대전 : 박정희 ■ 전남, 경북 : 김연석
■ 울산, 경기 : 김석언■ 경남, 제주 : 김계순
- 3 -
[붙임2]
황사 피해예방 단계별 행동요령
단계별 |
기관별 |
행 동 요 령 |
황사 발생 전 |
교육행정기관, 학교, 교원 |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 기상청 및 환경부의 기상예보 청취 및 분석 ◦ 기상상황에 따라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 신중히 검토 ◦ 시‧도 또는 단위학교별 재량휴업, 단축수업 등 결정‧통보 ◦ 황사기간 중 학생 대상 각종 대회 및 행사 시기 조정 검토 ◦ 조치결과를 교육인적자원부에 신속히 보고 〔초‧중등학교〕 ◦ 황사발생 대비 피해예방을 위한 학생 행동요령 숙지 교육 및 단위학교별로 학부모 대상 홍보 ◦ 황사 발생 원인, 피해예방 등에 관한 계기교육 실시 ◦ 휴업 조치 시 맞벌이 부부 자녀에 대한 자율학습 대책 수립 ◦ 학교급식 관련 위생관리 사전 점검 ◦ 시‧도교육청 결정에 따라 학교교육과정 운영방법 결정 〔유치원〕 ◦ 황사에 대한 정보(일기상태 등)를 미리 습득하여 유아들에게 알림 ◦ 황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을 예방 접종토록 함 ◦ 가정통신문을 통해 유치원과 가정의 유아건강 안전 연계 지도 홍보 ◦ 황사 등 환경오염에 대비하는 훈련 실습 〔교원〕 ◦ 학생 비상연락망 파악, 교실 창문 밀폐 여부 점검 등 안전조치 ◦ 황사피해 예방을 위한 가정통신발송 및 학생 보건 교육 |
- 4 -
단계별 |
기관별 |
행 동 요 령 |
황사 발생 기간 중 |
교육행정기관, 학교, 교원 |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 휴업, 단축 수업 조치 등 결정사항을 신속히 학교에 통보 ◦ 학생 건강 피해 상황, 수업진행 상황 등 현황보고 ◦ 기상상황에 따라 학교 정상수업 진행 여부 결정‧통보 〔초‧중등학교〕 ◦ 시‧도교육청 또는 학교재량으로 결정된 사항을 학생 및 학부모에게 신속히 통보 ◦ 실외‧야외 학습은 실내 학습활동으로 대체 ◦ 보건 위생교육 철저 - 마스크 착용 및 외출 시 귀가 후 얼굴, 손 씻기 지도 등 ◦ 학교급식 위생 철저 ◦ 학생 외출 자제 등 학부모에 대한 홍보 ◦ 휴업조치 시 맞벌이 부부 자녀 등에 대한 자율학습 지도 〔유치원〕 ◦ 외출 시 마스크, 모자 등을 반드시 착용 ◦ 외출 후 자주 손발씻기 등 몸의 청결 유지, 옷세탁 ◦ 유아들의 실외 놀이 삼가 ◦ 물을 많이 먹도록 함 ◦ 휴업조치 시 맞벌이 부부의 자녀 등 부득이하게 등교하는 아동에 대해서는 별도 지도 〔교원〕 ◦ 정상근무 : 평상시처럼 근무 ◦ 관할청의 휴업 및 휴교명령 시 - 휴업일: 휴업일은 교원의 공휴일은 아니므로, 학교의 수업이 없다고 하더라도 교원은 정상적으로 근무 - 휴교일: 학교장의 지시에 따라 단순한 관리업무 등 수행 |
- 5 -
단계별 |
기관별 |
행 동 요 령 |
황사 종료 후 |
교육행정기관, 학교, 교원 |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 황사 피해상황 점검 및 사후 조치 〔초‧중등학교〕 ◦ 학생건강 등 현황 파악 및 사후 조치 ◦ 학교 실내‧외 방역 및 청소를 통한 먼지 제거 〔유치원〕 ◦ 감기, 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조치 ◦ 유치원 대청소 실시 〔교원〕 ◦ 피해 교직원 및 학생 파악 ◦ 비상연락체계 유지 ◦ 필요시 교직원 및 학생 건강진단 |
※ 황사 발령 단계별 시‧도교육청 조치 사항
발령 단계 |
조치 사항 |
|
황사 예보 (강한 황사) |
◦ 비상대책반 설치‧운영(기상청 발표상황 수시 파악) ◦ 비상연락망 가동 준비 |
|
황사 특보 |
황사 주의보 |
◦ 비상연락망 가동 ※ 실외활동 자제 ◦ 단계별 대응조치 강구 ※ 단축수업 등 학교장 판단 |
황사 경보 |
◦ 대응조치 발령(교육감) : 지역 및 적용 학교 결정 ◦ 통일된 조치유형(단축수업, 임시휴업 등) 결정 및 보고 |
- 6 -
[붙임3]
「황사경보」발령 시 시‧도교육청 대응조치 유형
시‧도명 |
대응조치 유형 |
비고 |
||
시‧도전역 (A) |
권역별 (B) |
지역교육청별 (C) |
||
서울 |
◦ |
|||
부산 |
◦ |
|||
대구 |
◦ |
|||
인천 |
◦ |
|||
광주 |
◦ |
|||
대전 |
◦ |
|||
울산 |
◦ |
|||
경기 |
◦ |
1권역 - 의정부외 7개지역 2권역 - 수원외 4개지역 3권역 - 부천외 4개지역 4권역 - 성남외 5개지역 |
||
강원 |
◦ |
|||
충북 |
◦ |
|||
충남 |
◦ |
|||
경북 |
◦ |
|||
경남 |
◦ |
|||
전북 |
◦ |
|||
전남 |
◦ |
|||
제주 |
◦ |
- 7 -
황사대응 국제협력대책
외교통상부
1.'05 황사대응 국제협력 추진실적
□ 황사대응을 위한 황사발생국과 피해국간 협력 체제 구축 지속 추진
○ 중국서부 조림 사업
- ‘01- ‘05년간 미화 500만불 규모(우리측 KOICA 지원)
- 중국 5개 지역 총8,040ha에 21,517,920그루의 묘목 식수 및 조림기술 및 경험 전수
○ 한‧중 기상청간 황사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사업
- 중국 동북부 지역 황사 경로상에 5개 관측소 설치, 운영
- ‘03- ‘05년간 총123만불 소요(우리측 KOICA 63만불, 중국측 60만불)
○ 한·중 환경부간 황사정보공유 약정 체결('05.6월) 지원
- 황사발원지 이동경로상의 6개 측정소(‘06- ‘07년도 설치)의 데이터 실시간 전송
□ 동북아환경협력 다자‧양자채널을 통한 동북아 역내 국가간 정보교류 및 인식 공유를 통한 협력체제 구축 노력
○ 제10차 한‧중 환경공동위원회 개최('05.1.27- 28, 중국)
- “황사모니터링 및 데이터공유 네트워크 구축” 등 황사대응 협력사업에 대한 의견교환 및 향후 협력 방안 논의
○ 제11차 동북아 환경협력고위급회의(NEASPEC) 개최(‘05.10.25- 26, 서울)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정부대표 및 ESCAP, UNEP, NOWPAP 관계자 참석
- 동북아 황사대응 ADB- GEF 사업 후속조치 논의
- 8 -
□ 지구환경금융(GEF)등 국제재원메커니즘을 통해 황사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적 지원 확보 노력 강화
○ 동북아 황사대응 ADB‧GEF사업(‘03- ‘05, GEF‧ADB 각 50만불)
- 동북아 황사방지를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황사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및 황사발원지내 황사저감 투자전략)
※ ‘05.3.23- 28 서울개최 제5차 아‧태 환경개발장관회의(MCED 2005) 부대행사로 황사설명회를 개최, ADB- GEF 1단계사업 추진성과 발표
2. ‘06 황사대응 국제협력 추진 기본방향 및 대책
□ 황사대응을 위한 황사발생국과 피해국간 협력 체제 구축 지속 추진
○ 중국 서부 생태복원사업(‘03- ‘06, 환경부) 추진지원
※ ‘06년 생태환경 시범마을조성 행동계획 수립 등 사업(14만불)
○ 한·중 환경부간 황사정보공유 약정(‘05.3월) 후속조치 추진지원
※ 황사관측소의 측정, 기상 및 전송장비 설치 지원(6개소) 및 자료공유 방안 등에 관한 워크샵 개최(‘06년)
□ 동북아환경협력 다자‧양자채널을 통한 동북아 역내 국가간 정보교류 및 인식 공유를 통한 협력체제 구축 노력
○ 제11차 한‧중 환경공동위원회 개최('06.3월말 또는 4월중순, 한국)
- 황사사업에 대한 의견교환 및 향후 협력방안 논의
○ 제12차 동북아환경협력고위급회의(NEASEPC)개최(하반기, 중국)
- 황사대응문제를 향후 주요활동사업에 포함 문제 논의
□ 지구환경금융(GEF)등 국제재원메커니즘을 통해 황사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적 지원 확보 노력 강화
○ ‘황사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네트워크 구축’ 및 ‘황사 발원지 황사저감 공동시범사업’을 위한 ADB- GEF 2단계 사업 추진지원
※ 첨부 : 동북아황사대응 협력사업 개관
- 9 -
[붙임]
동북아 황사대응 협력사업 개관
1. 중국서부 조림 사업(‘00.10, 한‧중 정상회담 합의)
○ 중국 서부지역 산림복구 및 임업생태계 개선
○ ‘01- ‘05년간 미화 500만불 규모(우리측 KOICA 지원)
○ 중국 감숙성 백은시, 신강자치구 투르판시, 내몽골자치구 통료시 등 5개 지역 대상으로 총 8,040ha에 21,517,920그루의 묘목 식수 및 조림기술 및 경험 전수
2. 한‧중 기상청간 황사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사업(‘02.7월 한‧중 기상청협력회의)
○ 중국 동북부 지역 황사 경로상에 5개관측소 설치, 운영
○ ‘03- ‘05년간 총 123만불 소요(우리측 KOICA 63만불, 중국측 60만불)
3. 중국서부 생태환경복원사업(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사업, ‘03- ‘05, 29만불)
○ 중국 내몽고 인근 지역 대상으로 생태복원 시범마을 조성 방안 연구
4. 지구환경금융(GEF) 지원 황사 대응 사업
○ 한‧중‧일‧몽 4개국 및 국제기구(UNEP, ESCAP, ADB, UNCCD) 참여, 동북아 황사대응을 위한 지역협력체제 구축 목적
○ ‘03- ‘05년간 미화 121만불(GEF 및 ADB 각 50만불, 중‧몽 각 21만불, 환경부 주관)
- 10 -
5. 중국의 황사발생지역 황사공동연구(‘01년 제7차 한‧중 환경공동위원회 합의, 기상청 주관)
○ 한반도에 가까운 중국의 황사발원지의 먼지농도 현황 파악 체제 구축 목적
○ 중국 발원지 3소에 황사감시탑 3대 설치로 황사발생 특성 관측
6. 황사발생 및 수송과정에 관한 연구(국립환경과학원 주관)
○ ‘95년이후 한‧중‧일간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추진, 02년부터 동연구에 황사 포함
○ 황사의 물리‧화학적 특성규명, 황사발원 및 수송과정에 대한 정량적 연구 및 모델링
- 11 -
환경분야 황사피해 저감대책
환 경 부
1. 황사로 인한 대기오염 영향
□ 미세먼지
○ 황사시 미세먼지 농도는 평상시 보다 13~27배 증가
- '05.11.6 황사시 서울의 미세먼지농도는 시간 최고 753㎍/㎥로 평상시(‘05년 평균 58㎍/㎥)보다 13배나 높게 나타남
- 가장 극심한 '02.4.8 황사시 서울의 미세먼지농도는 시간 최고 2,070㎍/㎥로서 평상시('02년 평균 76㎍/㎥)의 27배 수준
□ 중금속
○ 황사발원지의 토양성분인 철(Fe), 망간(Mn) 등의 농도는 평상시보다 증가하였으나, 유해중금속인 납(Pb), 카드뮴(Cd) 등은 평상시와 뚜렷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음
- 높게 나타난 철(Fe), 망간(Mn)은 알루미늄(Al), 칼슘(Ca)과 함께 황토지역, 고비사막 등의 토양성분에서 비롯된 것임
- 황사에 의한 납(Pb), 카드뮴(Cd) 등 인체 유해성 중금속은 아직까지 조사 결과로는 특이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국립환경과학원, KEI)
⇒ 따라서, 황사에 의한 중금속은 토양 성분에 자연 함유된 것 외에는 인체 영향이 큰 유해중금속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려움
□ 다이옥신
○ 황사시의 다이옥신 농도가 평상시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 황사로 인한 다이옥신 오염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됨(‘01~’05, 환경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 12 -
2. ‘05년 환경분야 황사피해 저감대책 추진실적
□ 대기오염측정망 운영을 통한 황사 예‧특보제 지원
○ 미세먼지 자동 측정자료의 실시간 제공에 따른 황사 예‧특보제 지원
-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228개소)의 실시간 측정자료를 기상청에 제공하여 황사 예보 및 특보시 미세먼지 농도 등으로 활용
□ 황사시 중금속 등의 대기오염 영향 분석
○ 황사시 서울 등 5대 도시의 중금속 측정 및 분석(카드뮴, 납, 구리 등 7개 항목)
- '01년부터 중금속측정망을 통한 분석(42개소)
○ 황사시 황사중의 다이옥신 측정‧분석(강화도 석모리)
- 국가배경농도 측정망을 통하여 '05. 4월중 2회에 걸쳐 시료 채취
□ 한‧중 환경부서간 황사 자료 공유체계구축 추진
○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중 환경장관 회의시 합의('03.7)
- ‘04년 3차례 상호 방문을 통하여 구체적인 방안 협의
○ 한‧중 환경부간 황사정보공유 관련 MOU 체결('05. 6. 7))
- ‘05. 9. 13부터 중국내 47개 도시 대기질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
□ 황사발생 저감을 위한 국제협력사업 추진
○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사업으로 「중국서부 생태환경복원사업」추진('03~’05, 29만불)
- 중국 내몽고 인근 지역 대상으로 생태복원 시범마을 조성 방안 연구 등
○ 지구환경금융(GEF) 지원 황사 대응사업 추진('03~’05, GEF‧ADB 각 50만불)
- 황사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 황사 발원지내 황사저감 투자전략 등 동북아 황사방지를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제5차 유엔 아‧태 환경과 개발 장관회의(MCED 2005)」부대행사로 황사사업 설명회를 개최하여 ADB- GEF 1단계 사업 추진성과 발표
- 13 -
□ 황사 위해성 연구 등 연구사업 추진
○ 황사 발생시 배경지역에서의 다이옥신 분석‧연구('05)
- 황사 및 비황사(평상시) 기간중 다이옥신 농도 비교
○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예측을 위한 차세대 산성침적모델 개발('05)
- 동북아지역에서의 SO2와 NOX에 대한 배출원‧피해지 관계 도출 등
3. ‘06년 추진계획
□ ‘06년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시달
○ ‘06. 3. 10 국무조정실 주관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결과를 토대로 종합대책 수립
- 11개 관계부처 및 시‧도에 시달
□ 황사 감시체계 강화
○ 황사 등 장거리이동 오염물질 측정센터 건립 추진('06~‘07)
-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황사, 유해대기물질 등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종합측정센터를 설치하여 국가적 대기오염 모니터링 네트워크 역할 수행
- 설치지점 : 백령도(‘06예산 : 6억원)
○ 대기오염측정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황사 관측 강화
- ‘05년 228개소 → ’06년 241개소로 측정망 확충‧운영
- 기상청과 관측자료에 대한 실시간 공유
○ 황사중 중금속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42개소)
- 강한 황사 발생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측정 포함
- 14 -
□ 황사발생 저감을 위한 국제협력사업 추진
○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사업으로 「중국서부 생태환경복원사업」지속 추진('03~’06)
- 생태환경 시범마을조성 행동계획 수립 등 사업 추진(‘06, 14만불)
○ ADB- GEF 지원 2단계 사업 추진('06)
- 황사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네트워크 구축
- 황사 발원지 황사저감 공동시범사업
□ 황사관련 연구사업 추진
○ 황사 에어로졸 대기연직분포 연구('06)
- 황사 발생시 시간별 에어로졸 이동상황 분석 등
○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예측을 위한 차세대 산성침적모델 개발(Ⅱ) ('06)
- 대기오염물질의 물리‧화학 과정 모형 개발 및 동아시아 환경을 고려한 에어로졸 모형 개발 등
- 15 -
[붙임]
황사시 중금속 분석결과
(단위 : ㎍/㎥)
구 분 |
Pb |
Cd |
Cr |
Cu |
Mn |
Fe |
Ni |
|
서울 |
‘05.4월 황사 |
0.0844 |
0.0025 |
0.0202 |
0.1361 |
0.2463 |
5.8335 |
0.0156 |
‘05.4월 비황사 |
0.0896 |
0.0043 |
0.0126 |
0.1478 |
0.1160 |
2.9377 |
0.0116 |
|
'04.3월 황사 |
0.0668 |
0.0000 |
0.0210 |
0.0488 |
1.8836 |
9.3925 |
0.0130 |
|
‘04. 3월 평균 |
0.1007 |
0.0006 |
0.0211 |
0.1561 |
0.1417 |
5.7724 |
0.0141 |
|
'02.3월 황사 |
0.0519 |
0.0036 |
0.0456 |
0.1376 |
0.4493 |
10.1260 |
0.0361 |
|
'02.3월 평균 |
0.0846 |
0.0062 |
0.0357 |
0.2337 |
0.0741 |
2.7049 |
0.0318 |
|
부산 |
'04.3월 황사 |
0.0313 |
0.0005 |
0.0840 |
0.0948 |
0.1129 |
4.0216 |
0.0476 |
‘04.3월 평균 |
0.0777 |
0.0029 |
0.0728 |
0.1177 |
0.0948 |
2.3998 |
0.0442 |
|
'02.4월 황사 |
0.0618 |
0.0051 |
0.0193 |
0.2787 |
0.2675 |
9.9821 |
0.0213 |
|
‘02.4월 평균 |
0.0888 |
0.0033 |
0.0141 |
0.2415 |
0.2064 |
7.5638 |
0.0176 |
|
대구 |
‘05.4월 황사 |
0.0393 |
0.0011 |
0.0097 |
0.1683 |
0.1840 |
4.9160 |
0.0119 |
‘05.4월 비황사 |
0.0467 |
0.0019 |
0.0046 |
0.1486 |
0.0586 |
1.6585 |
0.0099 |
|
'02.4월 황사 |
0.0396 |
0.0026 |
0.0381 |
0.9437 |
0.4178 |
11.2092 |
0.0069 |
|
‘02.4월 평균 |
0.0582 |
0.0037 |
0.0281 |
1.4513 |
0.2795 |
7.3875 |
0.0214 |
|
광주 |
‘05.4월 황사 |
0.0553 |
0.0034 |
0.0051 |
0.7649 |
0.1006 |
1.8048 |
0.0054 |
‘05.4월 비황사 |
0.0346 |
0.0008 |
0.0052 |
0.5246 |
0.0692 |
1.7698 |
0.0042 |
|
'04.3월 황사 |
0.0598 |
0.0000 |
0.0014 |
0.7980 |
0.1471 |
3.8820 |
0.0119 |
|
‘04.3월 평균 |
0.0717 |
0.0000 |
0.0006 |
0.7437 |
0.0925 |
2.1603 |
0.0110 |
|
'02.4월 황사 |
0.0477 |
0.0013 |
0.0054 |
0.2191 |
0.4434 |
0.4718 |
0.0089 |
|
‘02.4월 평균 |
0.0110 |
0.0009 |
0.0123 |
0.2201 |
0.0442 |
1.0959 |
0.0059 |
|
대전 |
‘05.4월 황사 |
0.1785 |
0.0004 |
0.0053 |
0.0304 |
0.1501 |
3.3208 |
0.0066 |
‘05.4월 비황사 |
0.1354 |
0.0021 |
0.0046 |
0.0385 |
0.0563 |
1.3667 |
0.0052 |
|
'04.3월 황사 |
0.1010 |
0.0027 |
0.0063 |
0.1069 |
0.0626 |
1.3027 |
0.0076 |
|
‘04.3월 평균 |
0.0425 |
0.0002 |
0.0003 |
0.0495 |
0.0297 |
0.7548 |
0.0002 |
|
'02.4월 황사 |
0.0423 |
0.0013 |
0.0060 |
0.2510 |
0.4238 |
3.1235 |
0.0041 |
|
‘02.4월 평균 |
0.0530 |
0.0002 |
0.0012 |
0.0169 |
0.0766 |
1.8000 |
0.0021 |
|
울산 |
'04.3월 황사 |
0.0299 |
0.0050 |
0.0055 |
0.0938 |
0.0991 |
3.0511 |
0.0044 |
‘04.3월 평균 |
0.0510 |
0.0039 |
0.0047 |
0.1058 |
0.0663 |
1.8744 |
0.0048 |
|
'02.4월 황사 |
0.0816 |
0.0035 |
0.0180 |
0.3339 |
0.4213 |
12.2375 |
0.0218 |
|
‘02.4월 평균 |
0.0604 |
0.0024 |
0.0021 |
0.1280 |
0.0723 |
1.9844 |
0.0095 |
|
인천 |
‘05.4월 황사 |
0.1411 |
0.0033 |
0.0279 |
0.1922 |
0.1658 |
6.2024 |
0.0204 |
‘05.4월 비황사 |
0.1092 |
0.0055 |
0.0155 |
0.1659 |
0.1159 |
3.1592 |
0.0133 |
|
'04.3월 황사 |
0.1118 |
0.0073 |
0.0274 |
0.1662 |
0.2692 |
8.8866 |
0.0162 |
|
‘04.3월 평균 |
0.1049 |
0.0068 |
0.0192 |
0.1357 |
0.1883 |
5.8606 |
0.0124 |
|
'02.4월 황사 |
0.0980 |
0.0097 |
0.0290 |
0.1390 |
0.4878 |
12.5975 |
0.0299 |
|
‘02.4월 평균 |
0.1054 |
0.0099 |
0.0256 |
0.1326 |
0.3409 |
9.0031 |
0.0239 |
※ 비황사 : 정기측정기간중 비황사일과 황사발생 종료 7일 후 측정값의 평균값임
※ ‘02~’04년의 월평균 자료는 중금속측정망 운영 결과이며, ‘03년은 약한 황사로 측정치 않음
- 16 -
산업부문 황사피해 방지대책
산업자원부
1. 검토 배경
☐ 매년 봄, 중국대륙으로부터 불어오는 황사는 호흡기등의 각종 질환 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에도 피해 초래
* 매년 3- 5월(3개월) 동안에 나타나며, 발원지에서 연중 20회 정도 발생하며 그 중 10~30%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침
○ 이에 따라 국가 주요 성장동력인 반도체‧LCD산업, 자동차, 조선산업에 대한 철저한 피해 예방 대책 수립 필요
2. 산업피해 현황 및 예방실적
□ 지난해 황사로 인해 산업피해는 미미한 수준이며, 생산 및 수출 피해는 거의 없었음
□ ‘05년 반도체 산업의 경우 내부 황사발생기준 마련 및 황사 발령 비상 연락망 구축하여 피해 예방
○ 클린룸 입실시 에어샤워 시간 두 배 강화, 공정자재 건물간 이동시 포장상태 철저, 외기 도입 공조기 관리 점검 강화 등(Cleaning 주기 단축, 필터 교체 및 여유분 확보)
* 사례 : ‘05년 황사발생시 삼성SDI(주)의 대응 현황
구분 |
Demister |
Pre- Filter |
Medium- Filter |
외조기 내부 |
평상대응 |
1개월 |
1개월 |
2개월 |
1주 |
황사기간 |
1일 |
1일 |
1주 |
1일 |
-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에 대한 개인 위생관리 및 Air Shower 시기 등 사전교육 강화
- 17 -
□ 자동차 산업의 황사피해는 전반적으로 미미한 수준
○ 제조설비의 소모품 조기교환으로 인한 설비보존 비용이 다소 증가한 수준
산 업 |
피 해 내 용 |
초정밀산업 (전자, 반도체) |
TV브라운관등 생산제품 불량률 증가 공기순환 제어장치 중단, 필터교체주기 단축 |
유통업 |
백화점 매출증가율 감소 |
조선업 |
도장공정 중단으로 조업일수 증가 |
자동차 |
수출 차량에 대한 추가 왁스칠 비용 추가 |
기 타 |
레저산업 매출감소 유리산업의 불량률 증가 |
3. 황사피해 방지대책
□ 피해 우려 업종을 중심으로 업종별 피해방지 대응체계 구축‧운영
○ 업종별 황사발령 비상연락망을 구축하여 단체 및 업계에 황사정보를 조기에 제공
○ 황사 발생시 사업장 내부 공기통로 통제강화, 사업장 사이 공정자재 이동시 포장상태 강화
- 작업환경 유지를 위해 Air Cleaner, Filter element 등의 공기정화 소모품의 교체주기 단축 추진
○ 작업자 안전을 위해 야외 작업일정 재조정, 방진마스크, 보안경 착용 등 안전조치 강구
□ 황사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보건복지부‧건설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직원들의 건강문제와 물류부문의 애로사항 해결
- 18 -
황사피해방지 홍보대책
국정홍보처
1. ‘05 홍보 추진실적
□ KTV 활용 홍보
○ 뉴스 기획보도 (수시)
- 국정뉴스 「국정오늘」 등 활용 ‘황사피해방지 정보’ 제공
○ 자막뉴스 활용(3.2 ~ 3.31, 수시)
- 황사 예방 캠페인 실시
○정규프로그램 활용(5개프로 9회 방송)
- 지금 북한에선, 건강플러스, 통일로 미래로, 녹색한국, 정책현장 등 5개 프로
- 황사피해 줄이기 위한 환경부의 대책과 행동요령 방영
□ 국정브리핑 활용 홍보(기사게재 8회)
○ 한·중, 황사·기상레이더 관측자료 교환
- 전문가 교류·공동연구 합의…황사·서해발달 나쁜 기상 조기 감시 [2005.08.17]
○ 한·중, 초등생 대상 황사 호흡기 영향 공동조사
- 한·중 양국이 황사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공동조사할 계획이다. [2005.04.08]
○ 서해 종합 해양기상관측기지 개소
- 기상청은 서해상에서 발달하는 집중호우, 폭풍 등 기상상황과 중국에서 이동해 오는 황사의 조기감시를 위해 우리나라 최서단 북격렬비도...[2005.04.06]
○ 황사땐 외부공기 유입막고 채소 등 충분히 씻어야
- 식약청, 황사대비 식품관리 요령 마련 [2005.03.26]
- 19 -
○ 중국기상청 황사자료 실시간 받는다
- 5곳에 공동관측소 설치…수신 시스템 22일 개통식 [2005.03.22]
○ 봄철 황사, 이렇게 대처하세요.
- 봄이면 꽃소식과 함께 찾아오는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환경부는 범정부 차원의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을 지난 8일 국무회의에 보고한 바 있다. [2005.03.14]
○ 정부, 황사 예보 감시기능 강화 [2005.03.08]
○ 농진청, 황사대비 농작물·가축관리 교육 [2005.03.04]
□ 전광판 활용 홍보(전국 113개소 전광판 , 광고문안 표출 2회)
○ “황사가 발생하는 계절입니다. 황사 발생시 외출을 삼가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합시다(소방방재청)
2. ‘06 황사피해방지 홍보대책
□ 홍보상황
○ 황사는 중국‧몽골의 사막지역에서 발생하여 국내유입, 국내만의 근본적인 저감대책 수립 한계
○ 황사에 의한 국민들의 일상생활 피해 및 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 정부의 분야별 피해방지대책 마련 필요성
○ 지나친 피해강조는 막연한 국민불안감 확산 가능성
□ 홍보방향
○ 황사 피해방지 및 최소화를 위한 관계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정부 노력 부각, 불안감 해소
- 재해대책 차원에서 접근, 단계별 국민행동요령 홍보 및 신속한 예‧특보발령 전파
- 발생국, 인접피해국과의 국제공조노력 등
○ 황사발생 원인과 유입경로 등 정확한 황사관련 지식 확산
- 20 -
○ 황사피해 예방법에 홍보중점
국민불안감 해소
- 피해 방지 -
대국민 홍보
‧ 단계별 국민행동요령
‧ 예보 시스템
국제공조 협력
‧ 발생국 지원
‧ 인접피해국 협력
황사발생원인, 유입경로 등 지식 전파
□ 홍보대책
○ 분야별 대책 공동 발표 검토(3월)
- 황사 예보제 운영(기상청)
- 환경감시체계 운영(환경부, 기상청)
- 황사대응 국제협력사업(외교부)
- 산업피해 방지대책(산자부‧농림부) 등
○ 위기대응체계 구축, 신속대응
- 황사발생시 TV 자막방송, 휴대폰 문자서비스 제공
○ 반상회보, 현수막, 홍보물 제작(3월, 환경부‧소방방재청‧홍보처)
- 국민행동요령, 황사관련지식 등 수록
○ 환경단체 등과 민‧관 공동대응
- 환경운동연합 등과 공동으로 발생국 산림녹화사업 참여
- TV 환경 기획특집
○ 황사발생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 공개
- 황사관련 조사연구(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중‧몽골 공동 연구조사 등
- 21 -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대책
소방방재청
○ 국민 모두가 황사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스스로 적극 대처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황사피해 최소화 |
1. 일반현황
○ 황사의 정의
- 중국과 몽고의 사막 또는 황하중류의 황토고원 등에서 발생한 미세한 모래‧황토‧먼지 등이 폭풍에 의해 고공으로 올라가 바람을 타고 이동하면서 지표에 서서히 낙하하는 현상
○ 발원지 : 황하유역 및 타클라마칸 사막, 몽고 고비사막 등
○ 피해형태
- 통신장애 : 방해전파 발생으로 휴대전화 통화 장애
- 인체영향 : 호흡기나 기관지염, 천식, 안질 등의 질환발생
2. 황사대비체계
○ 황사피해가 심각했던 2002년을 계기로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각 부처별 황사대비 업무 분담
○ 환경부에서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
- 22 -
《환경부》
-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추진
- 미세먼지 및 중금속 상시 측정
《기상청》
- 황사전망 및 조기예보
- 중국, 국내 관측소 운영
《소방방재청》
-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
- 황사특보 발령시 재난문자방송 등 신속한 상황 전파
3. 2005 추진실적
□ 지자체를 통한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
○「‘05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 추진계획」을 지자체에 시달, 지역별 실정에 맞는 홍보 실시
- 황사대비 홍보물 제작·배포 : 2,820천매
‧ 팜플렛 306천매, 스티커 3천매, 포스터 5천매, 반상회보 1,834천매, 기타 672천매
- 홍보매체를 통한 홍보 : 375천회
‧ 인터넷 13천회, 전광판 78천회, 옥외광고 259천회, TV· 라디오·신문 등 기타 25천회
- 23 -
□ 홍보 동영상 홈페이지 게재
○ 소방방재청 홈페이지에 홍보 동영상 게재(‘05. 3. 1 이후 연중)
- 홍보배너 : 황사 이렇게 대처합시다.(300K)
- 주요내용 : 동영상(14분)
· 황사 발생의 원인 및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 정도
· 황사피해 최소화를 위한 유형별 국민행동요령 등
○ 교육부, 국방부, 행자부, 환경부, 산자부 등 18개 유관부처 홈페이지에 「황사 이렇게 대처합시다.」동영상 게재 요청
□ 대국민 사이버 교육·홍보용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 대국민 방재교육·홍보 시스템인 『Safe- Korea』에 황사 관련 사이버 강의 개설(‘05. 12월. www.safekorea.go.kr)
- 과 정 명 : “황사의 이해 및 대처요령(동영상 및 플래쉬 20분)”
- 교육목표 : 황사가 일어나는 주요요인 및 세부대처요령 학습
- 교육대상 : 중·고등학생 및 일반인
- 교과내용 : 황사의 이해, 황사의 발생현황 및 특징,
황사대비 행동요령
□ 대형전광판 정부광고매체를 활용한 홍보 실시
○ 국정홍보처에 전국 113개소의 대형전광판에 황사대비 홍보문안 표출 요청(‘05. 3 ~ 5월)
- 홍보문안 : “황사가 발생하는 계절입니다. 황사 발생시 외출을 삼가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합시다.
중앙재난대책본부 소방방재청”
□ 황사특보 발령시 신속한 정보 전달
○ CBS 휴대폰 긴급재난문자방송 2회, TV 재난문자방송 2회, 아카넷 TV(위성) 재난문자방송 5회 실시
- 24 -
4. 2006 추진계획
황 사 전 망 |
||
○ 황사 발원지 및 중국 북부내륙 지역의 봄철 전반부 기온이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발원지의 황사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 상층 서풍대가 북편하여 발달하면서 우리나라의 황사 발생 일수는 평년(3.6일)과 비슷 |
□ 추진방향
○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등을 각종 홍보물 및 매체 등을 통하여 적극 홍보, 국민 개개인이 황사로부터 스스로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국민의식 제고
- TV‧라디오방송, 신문, 반상회 회보, 홍보 전광판, 아파트 구내방송, 마을앰프 등을 통한 국민과 함께하는 홍보
- 지자체별 팜플렛, 스터커, 포스터 등 홍보물 제작 주민 홍보
□ 주요내용
○ 황사발생 전‧중‧후 가정, 학교 및 농가 등에서의 황사피해 최소화를 위한 단계별 국민행동요령 등 홍보
○ 황사특보 발령시 신속한 상황전파
※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별첨
- 25 -
□ 세부추진계획
1. “전국반상회보”에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홍보(3~4월)
2. 지자체를 통하여 대국민 홍보 실시
○「‘06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 추진계획」을 지자체에 시달, 지역여건에 맞는 적극적인 홍보 추진 유도
- 영상 및 문자 홍보물은 소방방재청의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자체제작 및 홍보
- TV, CATV, 전광판 , 인터넷 등 다양한 영상매체와 리후렛, 소책자, 전광판 등 문자매체에 대한 홍보물을 마련, 지역매체에 즉시 배부·홍보
3.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동영상 홍보
○ 소방방재청 및 정부부처, 유관기관 홈페이지 등에 「황사 이렇게 대처합시다」 동영상 게재
○ 기존 동영상 보유자료 베타테입 재편집 등 보완을 통하여 CATV, 전광판, 인터넷 등 홍보 실시
4. 대형전광판 정부광고매체를 활용, 홍보(3~5월)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문자표출 홍보
(표출회수 1일 30~40회, 표출시간 10초)
5. 대국민 사이버 교육·홍보과정 운영(연중)
○ 운영웹주소 : www.safekorea.go.kr
○ 교육과정명 : “황사의 이해 및 대처요령”(동영상 및 플래쉬20분)
6. 황사특보 발령시 대국민 재난문자방송 실시
- 26 -
[별첨]
황사대비 단계별 국민행동요령
황사 발생전 |
○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실외활동 자제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 점검
- 외출시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위생용기 등 준비
- 과실, 채소류 등 미포장 식품의 야적 자제
○ 학교 등 교육기관
- 기상예보를 청취,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 검토
- 학생 비상연락망 점검 및 연락체계 유지
-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한 자율학습대책 등 수립
- 황사대비 국민행동요령 지도 및 홍보 실시
○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
- 가축이 활동하는 운동장 및 방목장의 가축 대피 준비
-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에 비닐 씌우기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 점검‧정비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점검
황사 발생중 |
○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활동 금지
- 27 -
- 창문을 닫고 가급적 외출을 삼가되, 외출시 보호안경,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손과 발을 씻고 특히 미지근한 물로 눈을 헹구어 주고, 양치질 등으로 입안 청결유지
-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
- 식품제조‧가공, 조리시 철저한 손씻기 및 기계‧기구류 세척 등 위생관리 2차 오염 방지
○ 학교 등 교육기관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단축 또는 휴업
○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
- 방목장의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 노출 방지
- 비닐하우스, 온실 및 축사 등의 출입문, 창문을 닫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할 것
- 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 천막 등으로 덮기
황사 발생후 |
○ 실내공기의 환기 및 황사에 노출된 물품 등은 세척 후 사용
○ 학교 실내‧외 방역 및 청소, 감기‧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조치
○ 축사, 방목장 사료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
○ 가축질병의 발생유무 관찰 및 병든 가축 발견시 신고
○ 비닐하우스, 온실 등에 쌓인 황사 세척
- 28 -
황사 전망 및 예보대책
기 상 청
1. '06년도 황사발생 전망
□ 황사발생 현황
○ 최근 중국 북부내륙지역의 사막화(전 국토의 17.6%, 169만㎢)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증가 추세(참조. 붙임)
- 서울 발생일수 : '80년대(3.9일) ➡ '90년대(7.7일) ➡ '00이후(12일)
연도 |
'96 |
'97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발생횟수 |
1 |
1 |
3 |
3 |
6 |
7 |
7 |
2 |
4 |
9 |
발생일수 |
1 |
1 |
13 |
6 |
10 |
27 |
16 |
3 |
6 |
12 |
○ '01년과 '02년 심한 황사로 ‘02년 4월부터『황사 특보제』운영
- '02년 초등학교 휴교 실시(4,373개소), 항공기 결항(164편), 호흡기 질환 환자 급증, 정밀 산업체 휴업 등 사회적ㆍ경제적 피해 증가
- 황사 입체관측망 구축(PM10 16대, 라이더 4대 : '03~'05) 및 특보 운영
□ 2006년도 봄철 기상전망
○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6~14℃)과 비슷하겠음.
- 3월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다소 높겠으나, 일시적인 대륙고기압의 확장으로 기온의 변화가 크겠음. 4월과 5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강수량은 평년(190~513㎜)과 비슷하겠음.
- 3월과 5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4월에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다소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음.
- 29 -
○ 월별 기상전망
3 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겠고, 대륙고기압의 일시적인 확장으로 쌀쌀한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건조한 날이 많겠음.
4 월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여 대체로 포근한 경향을 보이겠음.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활동이 점차 활발해짐에 따라 두세차례 다소 많은 비가 오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5 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고 포근한 날이 많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남서기류의 유입으로 일시적인 고온현상을 보일 때가 있겠음. 남쪽으로부터 기압골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지역에 따라 다소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
3월 |
평년(평균기온 - 1~10℃)보다 높음 |
평년(34~127㎜)과 비슷 |
4월 |
평년(평균기온 7~14℃)과 비슷 |
평년(67~176㎜)보다 많음 |
5월 |
평년(평균기온 12~19℃)과 비슷 |
평년(69~215㎜)과 비슷 |
□ 2006년도 봄철 황사발생 전망
○ 황사현상은 평년(2.1~4.8일, 전국평균 3.6일)과 비슷하겠음.
■ 황사 발원지 및 중국 북부내륙 지역의 봄철 전반부 기온이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발원지의 황사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상층 서풍대가 북편하여 발달하면서 우리나라의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3.6일)과 비슷하겠음.
- 30 -
2. ‘05년도 추진실적
□ 국내ㆍ외 황사관측망 확충
○ 중국 황사발원지에 황사관측망 5소 설치로 실시간 황사 관측자료 (PM10) 수집을 통한 조기 황사예보에 활용
- 한ㆍ중 기상청 황사관측소 5분 간격 관측자료 수신 개통(3.22)
. 중국 PM10 5소 : 주일화, 통료, 유세, 혜민, 대련
○ 중국 발원지 3소에 황사감시탑 3대 설치로 황사발생 특성 관측
- 중국 황사감시탑 3소 : 장예(고비사막), 뚜어런(내몽골), 유린(황토고원)
○ 국내 황사관측장비 4소 확충설치로 우리나라 동쪽지방의 황사예보 및 특보 발표의 기준으로 적용
- 12소('04)→16소(‘05) : 대관령, 울릉도, 영덕, 구덕산(부산)
|
|
<한ㆍ중 기상청 황사관측망(좌) 및 기상청 황사관측망(우)> |
□ 한ㆍ중ㆍ몽 황사 예보기술 교류
○ 봄철 황사기간 중 한ㆍ중 황사전문가 상호 교류 근무(3개월)
○ 한ㆍ중 기상협력(8.9~13) 합의사항으로 황사공동협력을 채택
- 한ㆍ중 황사관측자료 공유 및 황사농도 예측모델 자료 교환 등
- 한‧중 황사워크숍(‘05.12. 7~12. 9, 제주도) 개최
○ 몽고 황사발원지 답사(9월) 및 황사전문가 초청 기술협의(11월)
- 31 -
□ 황사농도 예측모델 개발 및 예보 활용
○ 중국 황사 발생시, 1일 2회(09시 및 21시) 황사농도 예측모델 운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향후 2일간 황사발생 및 농도 예보
- 동아시아지역의 황사농도 수평분포도 : 3시간 간격으로 2일 예보
- 우리나라 서해안 및 내륙지방 각 5소의 시간별 연직농도 변화도
. 서해안 5소 : 백령도, 안면도, 군산, 흑산도, 고산(제주도)
. 내륙 5소 :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
|
|
|
|
||
|
||
<황사농도 예측모델의 예보자료> o 수평농도 분포도(좌), 서해안(중) 및 내륙지방(우) 지점별 시계열 농도 변화도 |
□ 황사업무전담 부서 신설
○ ‘05. 8월 기상청 차관청 승격 시, 황사업무 총괄 담당부서로『관측황사정책과』신설 및 운영
- 32 -
3. ‘06년도 추진대책
□ 국내 황사 관측 및 분석체계 향상
○ ‘06년 봄철 황사예보 기상청 황사전문가단 구성‧운영
- 관측, 예보, 분석 등 전문가로 10인 구성 및 황사발생 시 예보지원
○ 한⋅중 대기과학연구센터를 황사위탁관측소로 지정 운영
- 황사 위성영상 분석자료 및 중부내륙지역(청원) 관측자료 공유
○ 황사 관측정확도 확보
- 현행 목측관측과 계기관측(PM10)간의 객관적 환산기준 정립
- 전국 황사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검사 실시
□ 중국 황사관측자료 입수 확대를 위한 협력 강화
○ 세계기상기구가 주관하는 동북아 황사연구 국제프로젝트 참여
- 동북아 지역의 실시간 황사관측자료 공동 활용 및 기술 협력
○ 중국기상청과의 황사예측분야 협력
- 황사농도 예측모델자료 상호교환 및 황사예보에 활용
□ 황사농도 예측모델 개선으로 황사 예보능력 향상
○ 황사농도 예측자료의 정확도 개선
- 중국 황사발원지 및 우리나라 관측값(PM10)과 예측값의 비교 검증
※ PM10 : 크기 10㎛ 이하의 부유먼지 농도 관측장비
○ 슈퍼컴을 활용한 예측자료의 조기 생산으로 신속한 황사특보 발표 추진
- 33 -
[붙임]
지점 연도 |
서울 |
강릉 |
대전 |
대구 |
전주 |
광주 |
부산 |
|
1996 |
횟수 |
1(1일) |
0 |
1(1일) |
3(5일) |
3(4일) |
4(5일) |
1(2일) |
기간 |
5.8 |
5.8 |
4.17~18 5.2 5.8~5.9 |
3.8 5.2 5.8~5.9 |
3.8 4.17 5.2 5.8~9 |
5.8~9 |
||
1997 |
횟수 |
1(1일) |
1(1일) |
1(1일) |
1(1일) |
1(1일) |
1(1일) |
1(1일) |
기간 |
3.30 |
3.30 |
3.30 |
3.30 |
3.30 |
3.30 |
3.30 |
|
1998 |
횟수 |
3(13) |
2(9) |
3(14) |
2(10) |
2(11) |
2(10) |
2(7) |
기간 |
3.28~30 4.14~22 4.28 |
3.29~30 4.16~22 |
3.28~30 4.14~22 4.27~28 |
3.28~30 4.15~21 |
3.28~29 4.14~22 |
3.28~29 4.14~21 |
3.28~30 4.18~21 |
|
1999 |
횟수 |
3(6일) |
1(3일) |
2(5일) |
2(5일) |
1(4일) |
2(5일) |
1(4일) |
기간 |
1.25~28 2.27 4.5 |
1.25~27 |
1.25~28 2.27 |
1.25~28 2.27 |
1.25~28 |
1.25~28 2.27 |
1.25~28 |
|
2000 |
횟수 |
6(10) |
3(6) |
4(9) |
5(8) |
6(11) |
6(12) |
6(9) |
기간 |
3.7 3.23~24 3.27~28 4.7~8 4.23 4.26~27 |
3.23~24 3.28~29 4.7~8 |
3.23~24 3.27~29 4.7~8 4.26~27 |
3.19 3.23~24 3.27 4.7~8 4.26~27 |
3.23~24 3.26~29 4.7~8 4.12 4.23 4.26 |
3.23~24 3.26~29 4.7~8 4.10 4.12 4.26~27 |
3.19 3.23~24 3.27 3.29 4.7~8 4.12~13 |
|
2001 |
횟수 |
7(27일) |
7(24일) |
7(24일) |
8(22일) |
10(23일) |
7(21일) |
8(21일) |
기간 |
1.2 3.3~7 3.20~25 4.7~12 4.24~26 5.16~19 12.13~14 |
1.2~3 3.3~7 3.20~23 4.9~12 4.24~26 5.16~19 12.13~14 |
1.2 3.3~7 3.20~25 4.10~12 4.24~26 5.16~19 12.13~14 |
1.2 3.3~4 3.6~7 3.20~24 4.10~12 4.24~26 5.16~19 12.13~14 |
1.2~3 3.3~4 3.6~7 3.20~25 4.10~12 4.14 4.24~25 5.3 5.16~18 12.13 |
1.2 3.3~7 3.20~24 4.10~14 4.24~25 5.16~17 12.13 |
1.2~3 3.3 3.6~7 3.20~23 4.10~14 4.24~25 5.16~19 12.13 |
|
2002 |
횟수 |
7(16일) |
6(14일) |
6(15일) |
5(12일) |
6(13일) |
6(14일) |
5(11일) |
기간 |
1.12~13 3.17~19 3.21~23 4.8~10 4.12 4.16~17 11.11~12 |
1.12 3.16~19 3.21~23 4.8~10 4.17 11.11~12 |
1.12 3.17~23 4.8~10 4.12 4.17 11.11~12 |
3.17~18 3.21~23 4.8~11 4.17 11.11~12 |
1.12 3.17~19 3.21~23 4.8~10 4.17 11.11~12 |
1.12~13 3.17~19 3.21~23 4.8~10 4.17 11.11~12 |
3.17~18 3.21~23 4.8~11 4.17 11.11~12 |
|
2003 |
횟수 |
2(3일) |
2(3일) |
2(2일) |
2(2일) |
1(1일) |
1(1일) |
- |
기간 |
3.27 4.12~13 |
3.27 4.12~13 |
3.27 4.12 |
3.27 4.12 |
3.27 |
3.27 |
- |
|
2004 |
횟수 |
4(6일) |
3(5일) |
6(10일) |
5(6일) |
6(9일) |
6(9일) |
4(5일) |
기간 |
2.25 3.10~11 3.30~31 4.23 |
3.10~11 3.30~31 4.23 |
2.14 2.25~26 3.10~12 3.30~31 4.23 5.4 |
2.14 3.11 3.30~31 4.23 5.4 |
2.14 2.25~26 3.10~12 3.30 4.23 5.4 |
2.14 2.25~26 3.10~12 3.30 4.23 5.4 |
2.14 3.11 3.30~31 4.23 |
|
2005 |
횟수 |
9(12일) |
3(5일) |
5(7일) |
3(5일) |
5(8일) |
5(9일) |
2(2일) |
기간 |
3.29 4.7 4.10 4.14 4.15 4.20~21 4.22 4.28~29 11.6~7 |
4.20~21 4.22 4.28~29 |
3.29 4.10 4.14 4.20~21 11.6~7 |
3.29 4.20~21 11.6~7 |
3.29 4.7~9 4.10~11 4.20 11.6~7 |
3.29 4.7~9 4.10~11 4.20 11.6~7 |
4.20 11.7 |
※ ( ) : 발생일수
- 34 -
농‧축산분야 황사피해 예방대책
농촌진흥청
1. 황사가 농작물 및 가축에 미치는 영향
□ 시설작물은 투광율 저하로 생육장애 등이 발생하였으나 노지작물은 피해가 거의 없었음
○ 일조부족, 하우스내 온도상승 지연으로 생육장애, 웃자람 및 과채류의 꽃‧열매가 떨어지는 현상발생
○ 온실 내부 습도가 높아져 곰팡이병 등 발생 증가
※ 국내 도착황사는 발원지 토양보다 세균은 43배, 곰팡이는 314배 증가되었으나 바이러스는 없는 것으로 조사 분석됨 (‘02,농진청)
□ 가축의 호흡기 질환 등 유발
○ 젖소‧돼지의 호흡기 질병은 황사보다는 계절적인 요인이 크고, 한우의 경우는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구제역 전파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01.8월 구제역역학조사위원회)하였으나 황사시료 조사('02년 357건, '03년 75건, ‘04년 9건) 결과 구제역 병원균은 미 검출
□ 농축산분야에 대한 황사의 영향은 적절한 사전예방 및 사후조치를 취할 경우 크게 나타나지 않음
<황사시 영향분석 (2002, 농진청)> |
||
◈ 황사로 인해 비닐하우스의 투광율이 7.6%정도 감소 ◈ 생육장애로 인한 애호박의 낙과율 차이는 0.4~9.1% 정도 발생 ◈ 가축의 호흡기 질환은 황사보다는 계절적인 요인이 큼 |
- 35 -
2. 그동안 황사에 대한 농업관련 사업추진 실적
가. 시험연구사업 추진 실적
□ 황사에 대한 시험연구 사업 수행 (’02~’04)
○ 농촌진흥청에 황사연구팀을 구성하여 황사의 영향 및 대책연구 추진
- 농작물, 가축 등 8개 분야 전문연구팀 구성(’02. 3)
- 황사 시료채취기 설치운영(수원‧태안 등 전국 6개소)
○ 황사관련 한·중 공동연구 추진
- 농촌진흥청과 중국 농업과학원 공동연구(2002~2006)
-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 및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 연구
□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 구명 (한‧중 국제공동연구)
○ 연구기간 : 2004. 12. ~ 2007. 11. (3년간)
○ 연구기관
- 농업과학기술원(한국),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자원지역계획연구소
○ 주요내용
- 황사의 비산 및 이동거리별 입자 및 구성성분 구명하여 황사가 토양 및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해석
○ 주요연구결과
- 한국 도착 황사는 양이온의 함량이 높고 Illite가 많았음
- 황사시에는 세균과 진균이 각각 평균 11.5, 91.4배 증가하였으며, 진균밀도가 더 높은 경향이었음
- 중국내 고비사막에서 약 400km 간격으로 황사채취기를 3지점에 설치하였음
- 36 -
나. 피해예방 조치 등 기술지도 추진실적
□ 황사정보의 신속전파 및 대농업인 홍보‧지도
○ TV 등 매스컴과 농수축산신문 등 농업전문지에 황사대비 요령 홍보
○ 원예축산 공직자(’05. 3, 4,523명) 및 농민(’05. 3, 30,789명) 교육
□ 황사대비 농작물 및 가축 등의 관리요령 수립추진
○ 시·도 및 농업관련기관 단체에 황사대비 대책 교육 및 시달
□ 황사에 대한 시험연구 결과 및 농작물‧가축 관리요령 등 자료집을 발간하여 대농업인 홍보‧지도 자료 활용
○ 1차(’03.2) 1,200부, 2차(’04.3) 500부, 3차(’04.8) 1,000부, 4차(’05.3) 500부 한‧중‧일‧영문판 발간 배부
○ 황사연구 팜플렛 발간 2,000부(’05. 4) 및 리후렛 12,000부(’05. 4) 배부
□ 제5차 유엔 아‧태 환경과 개발 장관회의(MCED) 중 동북아 황사대응 ADB- GEF 사업설명회 참석(’05. 3)
○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결과 설명 및 황사책자(영문판) 배포 100부
3. 금후 추진계획
□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 구명 연구(한‧중 국제공동연구, ’04~’07)
○ 주요내용
- 국내 풍적모재토양 및 중국 건조지태 황토의 형태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광물 조성 등 구명
- 황사의 비산 및 이동거리별 입자와 구성성분 구명
- 황사의 미생물 밀도 및 분포와 군집구조 및 유연관계 구명
- 37 -
□ 3월부터 황사대비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관리요령 홍보‧지도 추진
○ 시‧도 및 농업관련기관‧단체에『황사대비 농‧축산분야 관리요령』시달
- 시‧도 공직자 교육 및 리후렛 발간‧배부예정(농진청)
□ 3~4월중 심한 황사가 예보될 경우 대농업인 홍보집중 추진
○ 농민신문, 농수축산신문 등 농업전문지에 홍보
○ 시설원예농가와 축산농가 중심으로 관리요령 집중홍보‧지도토록 시‧도 및 농업관련기관‧단체에 황사대책 시달
4. 타부처 협조 요구사항
□ 황사 예보를 일찍 받을 수 있도록 협조 요망(기상청)
- 38 -
산림분야 황사피해 예방대책
산 림 청
황사 발생의 근본 원인인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건조 및 반건조지역에 대한 조림 및 조림기술 전수에 초점을 두어 추진 |
1. ’05년 추진실적
□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사업 실시
○ 중국 서부지역 사방조림 지원사업 완료(’01~’05, KOICA재원)
- 황사 발원지를 중심으로 감숙성, 내몽골 등 5개 지역 총 8,040ha 조림
- 입지환경‧토양 조건에 따른 수종(백양, 북경버들 등)선정‧조림
- 수원함양, 방풍, 토양고정, 생태환경 개선을 통한 사막화 방지
□ 민간차원의 조림사업 지원
○ ‘사막화 방지를 위한 중국과 몽골 조림사업’ 지원
- 산림청 녹색자금 지원(’05) : 290백만원
- 사업주체 : 동북아산림포럼
- 사업 대상지역 : 중국(북경, 내몽골), 몽골(울란바타르, 셀렝게주)
- 사업내용 : 360ha 조림, 모래 고정, 국제세미나, 교육훈련
○ ‘사막화 방지를 위한 한‧중 환경협력사업’ 지원
- 산림청 녹색자금 지원(’05) : 184백만원
- 사업주체 : 환경운동연합
- 사업 대상지역 : 중국 길림성 서북부 사막화 지역
- 사업내용 : 300ha 초지조성, 모니터링 사업, 대학생 교류, 웹사이트 운영
- 39 -
□ 공동연구 추진 및 조림기술 전수
○ 중국, 몽골과의 공동 연구 추진
구분 |
제 목 |
기 간 |
연구 관계기관 |
중국 |
사막화방지를 위한 수종개발, 목초지 조성기술 |
’02~’05 |
산림과학원(한) 임업과학원(중) |
몽골 |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 방지 연구 |
’01~’05 |
산림과학원(한) 국립지구생태연구소(몽) |
이동성 대기오염에 의한 산림 피해 연구 |
’01~’05 |
산림과학원(한) 국립지구생태연구소(몽) |
○ 사막화방지 교육훈련 실시(KOICA 재원, 국립산림과학원 실시)
- 개도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사막화 방지’ 교육(’01~’04, 17개국 63명)
- 중국 서북부지역 조림사업 관련 중국인 초청 연수(’03~’04, 101명)
□ 제5차 한‧중 임업협력위원회 실시(’05. 10, 대전)
○ ‘사막화방지를 위한 한‧중 협력사업 추진’을 합의
- 세미나‧워크샵, 상호현장 방문 등을 통한 사막화 방지사업 경험교류 등 사막화 방지 협력에 대한 중국측 제안에 합의
2. ‘06년 추진계획
□ 민간차원의 사막화방지조림사업 지원
○ 산림청 녹색자금을 활용하여 민간단체의 중국‧몽골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 사업 지원
- ’06년도 국제협력사업 지원액 : 10억원(현재 사업 공모중)
- 민간단체 추진계획 : 환경운동연합(300ha), 동북아산림포럼(500ha)
- 40 -
□ 사막화 방지를 위한 한‧중 협력사업 추진
○ 제4차 한‧중 임업협력위원회 후속조치로서 사막화방지 협력교류단을 구성, 상호방문 및 현장조사 실시
- 중국 국가임업국 사막화방지국, 한국 산림청간 협의 추진
□ 중국 서부지역 조림지 모니터링 추진
○ 완료된(’01~’05) ‘중국 서부지역 조림사업’ 대상지의 조림목 생장량, 생육, 식생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연구( ‘대기오염에 의한 산림피해 동태연구’, 국립산림과학원)
- 41 -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대책
식품의약품안전청
1. 2005년 추진실적
□ 황사대비 식품안전 관리대책 시달(2005.3.7)
○ 대상 : 각 시‧도, 지방청 및 한국식품공업협회 등 20개 식품관련단체(협회)
○ 황사발생 단계별 식품안전관리요령
□ 황사대비 관련 언론보도
○ 언론 홍보(보도자료 배포)
- 『황사대비! 식품 이렇게 관리하세요』(2005.3.15)
< 발생전 준비사항 >
- 과일‧채소류 및 건조 수산물 등 평소 미포장 상채로 유통‧판매되는 식품이 황사에 노출되지 아니 하도록 관리
- 원재료‧생산품 등 야외 야적 자제
- 제조시설 및 보관시설의 외부 공기 유입량 점검 등 예방 조치 시행
< 황사발생시 조치사항 >
- 포장 식품의 황사 노출 차단
- 제조‧가공‧조리시설 및 보관시설의 밀폐(외부공기 유입 차단)
- 제조‧가공‧조리장 등의 공기정화장치 가동
- 제조‧가공‧조리 등 전 기계‧기구류의 세척 실시
- 포장제품의 포장상태 재확인
- 종사자의 위생복 및 손 등의 세척에 의한 2차오염 방지 등
< 황사발생 후 조치사항 >
- 식품 제조‧가공기계‧기구류 및 조리기구 등의 세척
- 영업소 주변의 장소
- 황사에 노출된 채소‧과일류 등 농‧수산물 원재료의 충분한 세척 등
- 42 -
□ 관련기관 조치
○ 관내업체 등에 대한 지도‧계몽 실시(시‧도 및 시‧군‧구)
- 식품제조‧가공업소, 식품접객업소, 식품판매업소 및 일반 가정 등에 황사대비 식품안전 관리대책 지도‧계몽
○ 식품공업협회 등 식품관련협회는 동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대책을 회원사에 시달하여 철저히 시행토록 조치
2. 2006년 추진대책
○ 각 지방청 및 시‧도에 관리대책 시달(‘06. 3월)
- 관내 식품제조‧가공업소, 식품첨가물제조업소, 식품판매업소, 식품접객업소 및 일반 가정 등을 대상으로 “황사대비 단계별 식품안전관리요령”에 대한 지도‧계몽 실시
○ 각 식품관련 단체(협회)로 하여금 회원사에게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요령”을 시달하여 이를 준수토록 조치(‘06. 3월)
○ 황사대비 관련 언론보도 및 홍보(‘06. 3월)
- “황사대비 단계별 식품안전관리요령” 대국민 홍보를 위한 보도자료 배포
-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요령 홍보물 제작‧배포
○ 식약청, 시‧도(시‧군‧구)식품위생감시원의 식품관련업소등에 대한 지도‧점검시 지도‧계몽 실시(년중)
붙임 : 황사대비 식품안전관리요령
- 43 -
[붙임]
황사대비 식품 안전관리요령
□ 황사로 인한 오염 우려 식품
○ 실내가 아닌 노상 등 야외 노출되는 진열 식품이나 조리식품
○ 밀봉 포장하지 아니 하고 유통‧판매되는 과일‧채소류 및 건조 수산물 등
○ 식품의 제조‧가공‧조리 등 과정 및 종사자의 피복, 손 등에 의하여 2차 오염되는 식품
○ 노상 포장마차, 야외 조리 음식 등
□ 식품 관련업소에서 황사발생 단계별 식품안전관리요령
○ 발생전 준비사항
- 과일‧채소류 및 건조 수산물 등 평소 미포장 상태로 유통‧판매되는 식품이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
‧ 식품 유통‧판매업소에서 랩 등으로 포장
‧ 부득이 하게 포장을 할 수 없는 경우 보관 위생용기 등 준비
- 원재료‧생산품 등 야외 야적 자제
- 제조시설 및 보관시설의 외부 공기 유입량 점검 등 예방조치 시행
○ 황사발생시 조치사항
- 미 포장 식품의 황사 노출 차단
‧ 음식점 등의 조리된 음식물 및 미포장 식품은 반드시 덮개를 하여 황사 오염을 차단
- 44 -
- 제조‧가공‧조리시설 및 보관시설의 밀폐(외부공기 유입 차단)
- 제조‧가공‧조리장 등의 공기정화장치 가동
- 제조‧가공‧조리 등 전 기계‧기구류의 세척 실시
- 포장제품의 포장상태 재확인
- 종사자의 위생복 및 손 등의 세척에 의한 이차오염 방지 등
○ 황사발생 후 조치사항
- 식품 제조‧가공 기계‧기구류 및 조리기구 등의 세척
- 영업소 주변의 청소
- 황사에 노출된 채소‧과일류 등 농‧수산물 원재료의 충분한 세척 등
□ 가정에서 황사발생 식품 안전관리요령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
○ 식품 조리시 철저한 손씻기 등 위생관리로 2차오염 방지 등
- 45 -
황사대비 항공기 안전운항대책
항공안전본부
1. 2005년도 주요 추진실적
가. ‘05년 황사발생 및 피해 상황
□ 발생 현황
구 분 |
발 생 일 자 |
발생횟수 |
발생일수 |
3월 |
29 |
1 |
1 |
4월 |
7, 10, 14~15, 20~22, 28~29 |
5 |
9 |
계 |
6 |
10 |
□ 피해 상황 : 항공기 결항 및 시설 피해 없음
나. 추진실적
□ 공항운영 부문
○ 공항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점검활동 강화
- 황사대비 안전대책 일체점검(지방항공청)
‧ 기 간 : ‘05.4.29~5.3
‧ 대 상 : 공항, 항공사 및 지상조업체
‧ 결 과 : 분야별 비정상운항 대책, 사고 대비 비상출동체제 및 항공기 엔진 및 전자장비 점검 실태 등 양호
※ 현장개선 지시 사항 : 안전보호장비(안경, 장갑, 마스크 등) 확보, 여객편의 시설 유지관리 철저 및 환기 및 통풍시스템 청소 철저 등
- 공항 시설 및 장비 안전점검(황사정보 또는 황사주의보 등의 예보시 공항공사 자체 점검)
‧ 항행안전시설 점검 강화(46회)
‧ 항공등화(활주로등 및 접지구역등 등) 세척 및 내부 청소(11회)
- 46 -
‧ 정보통신시스템 및 플랜트 설비 등의 황사오염 취약시설 주기적 청소 및 각종 필터류 교체 등(6회)
‧ 여객청사 청소 강화(46회) 및 공조기 외부공기 차단 조치(10회) 등
○ 이동지역 안전관리 강화
- 차량 및 지상조업 장비 관리 강화
‧ 차량 및 지상조업장비 예방점검 실시(1회/매 발생일)
‧ 전자장비 등 정밀기계 손상 대비 사전점검(4회)
- 이동지역 근무 종사자 안전교육실시(지방항공청)
‧ 기 간 : ‘05.3.5~3.6
‧ 내 용 : 황사에 의한 안전사고 사례 전파로 안전의식 고취
- 이동지역 안전순찰 강화 운영
□ 항공기 운항 부문
○ 항공 운항관리 강화
- 황사정보의 신속한 전파체계 확립(황사정보 6회, 황사주의보 1회)
- 황사대비 안전운항 강화 지시
‧ 일 자 : ‘05.4.20 (황사주의보 발효 ; 기상청 제4- 65호)
‧ 내 용 : 공항공사 및 항공사에 황사대비 안전운항 강화 및 유사시 특별대책반 운영
- 중국 및 사막지역 비행시 황사지역 비행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우회항로 선정 등 필요조치
○ 항공기 비행안전 강화
- 비행전‧후 항공기 점검 강화
‧ 항공기 엔진 흡입구 이물질 점검 및 청소(황사 발생일 야간 정비시 수행)
‧ 황사 취약 엔진부품(Fan Blade, 동정압관 등) 점검 조치(황사에 조우된 항공기에 대한 야간 정비시 수행)
‧ 장시간 지상에 계류하는 항공기의 엔진흡입구에 보호막 설치
- 47 -
- 비행전 황사대비 운항승무원 자체 교육 실시(항공사)
‧ 황사지역 비행, 지상운항 절차 교육 및 시정 악화시 과감한 복행(Go- around) 실시 지시
2. 2006년도 황사 대책
□ 황사가 항공안전에 미치는 영향
○ 항공기엔진 및 이착륙지원 정밀 항공안전장비의 기능 저하 또는 오작동 등의 원인 제공우려
○ 시정악화로 인한 항공기 지연‧결항은 물론 각종 안전사고 발생여건 증가
□ 목 적
○ 황사로 인한 항공안전운항 저해요소 사전 제거
○ 황사에 대한 시의 적절한 대응능력 제고
□ 황사 대응체계 구축‧운영
○ 평시 : 담당자를 지정하여 황사특보 발령여부 모니터링체계 구축
○ 황사특보의 정도에 따라 단계(경계, 비상)별 대응팀 운영
- 경계체제(3명) : 팀장(과장) 외 2
- 비상체제(6명) : 팀장(국장) 외 5
※ 여건에 따라 팀장을 항공안전본부장으로 상향하는 등 확대조치
- 대응팀의 임무
‧상황반 운영 및 산하기관 지휘체계 확립
‧항공기 결항‧회항 등 운항현황 파악 보고
‧항공기 대량결항 등 긴급사태 발생시 대책 강구
□ 단계별 대책
<황사정보 발령시>
○ 황사대책 담당자가 항공 기상대의 황사특보 발령여부를 상시 모니터링
○ 전파체계 및 단계별 대응요령 재확인‧숙지
- 48 -
<황사주의보 발령시>
○ 지방항공청, 공항운영자, 항공사별 황사대비 항공기 운항대책 검토 및 실행
- 황사 민감 항공시설(항공기 엔진 포함)에 대한 보호막 설치 필요성 검토 등
- 필요시 공항 현장별 이행여부 점검(지방항공청)
○ 항공기 운항에 지장초래 여부 및 운항현황을 파악하고 필요시 대책 강구
<황사경보 발령시>
1 단계 |
○ 지방항공청, 공항운영자, 항공사별로 항공기엔진 및 이착륙 관련 정밀 항공안전장비에 대한 영향여부 점검(지시 발령)
- 상황에 따라 기 수립된 대책을 공항‧항공사‧지방항공청별로 시행
○ 점검결과 지원 필요사항 신속조치 및 현장 모니터링 강화
2 단계 |
※ 기준 : 40편 이상(출발기준)결항 발생 및 3곳 이상의 공항 패쇄 또는 인천‧김포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2시간이상 중단되어 대량 지연‧결항 발생시
○ 항공기 운항현황(지연‧결항)파악 및 대책 강구
○ 항공기 및 이착륙시설, 장비점검 등 안전조치 강화
○ 회항 가능성 증대에 따른 교체(대체)공항 운영
<황사특보 해제시>
○ 이착륙지원시설 등 항공안전시설과 항공기 엔진 등의 오염여부 및 피해여부 점검
- 발생된 피해에 대하여는 복구조치 후 운영 개시토록 지도‧감독 강화
○ 피해상황(지연‧결항 및 공항시설) 파악 및 조치사항 종합검토
-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07년 대책에 반영
- 49 -
황사대비 국민보건 안전대책
질병관리본부
1. 발생 전망
○ 미세먼지 및 각종 오염 물질 등이 포함된 황사 발생빈도가 해마다 증가하고 이에 따른 각종 호흡기질환자(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 및 안과질환자(유행성 각‧결막염, 자극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발생 증가가 우려됨
○ 특히 영유아나 노약자는 각종 눈병, 호흡기 질환, 피부질환 등에 취약하므로 주의가 요구됨
2. 그간의 추진사항
○ 전국 방역기관 황사 발생 대비 단계별 행동 요령 시달(‘06.02.27)
3. 향후 추진방향
○ 전국 안과전염병표본감시체계 운영
- 전국 90개 안과 병‧의원을 통한 주별 신고보고 체계 유지
-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 등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감염병 발생주보‧월보 제작 배포
○ 반상회보, 전광판, 공중파 방송 등 대중매체를 통한 대국민 홍보 강화
-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에 대한 홍보 강화
- 시·도 교육청 등 관련 기관의 협조를 통해 각급 학교 학생들에 대한 홍보
- 관내 노인정, 양로시설 등에 행동요령을 부착하여 노인인구층을 대상으로 홍보
- 50 -
단계별 |
행 동 요 령 |
황사발생 전 조치 사항 |
○ 황사로 인한 질병예방을 위한 국민건강생활요령을 적극 홍보한다. ○ 포장되지 않은 식품과 조리·가공 및 운반시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준비 등 홍보 |
황사발생 기 간 중 홍보 내용 |
○ 황사로 인한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국민행동 요령' -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급적 외출을 삼간다(특히, 천식환자, 노인, 영아, 호흡기질환자 등) - 황사가 실내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닫는다. - 외출 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옷을 착용한다. -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대신 안경을 착용한다. - 외출 후, 귀가 후에는 미지근한 물로 눈을 깨끗이 씻어내고 물을 충분히 마셔서 눈물이 원활이 분비되도록 한다. - 실내공기의 정화 및 가습기를 사용해서 실내에 습도를 높인다. - 귀가 후 반드시 손과 발 등 몸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한다.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한 후 섭취한다. - 식품가공, 조리시 종사자의 철저한 손씻기 등으로 2차 오염을 방지한다. |
황사종료 후 |
○ 실내공기의 환기 및 환경정화 ○ 황사오염 물품 등은 충분히 세척한 후 사용한다. |
- 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