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보도일시 |
배포 후 즉시 사용 |
배포일시 |
2021.1.20.(수) 배포 |
||||
비 고 |
* 모두말씀 별도배포 * 공동배포 : 기획재정부, 외교부 |
||||||
담당부서 |
국무조정실 개발협력정책관실 개발협력기획과 |
담당자 |
과장 장원석, 사무관 이아연 (044- 200- 2149) |
||||
국무조정실 개발협력정책관실 대외협력과 |
담당자 |
과장 안영기, 서기관 맹준호 (044- 200- 2153) |
|||||
국무조정실 개발협력정책관실 개발협력지원과 |
담당자 |
과장 문기영, 사무관 전홍규 (044- 200- 2158) |
|||||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 개발금융총괄과 |
담당자 |
과장 이대중, 사무관 정동현 (044- 215- 8713) |
|||||
외교부 개발협력국 개발정책과 |
담당자 |
과장 홍상희, 서기관 이예승 (02- 2100- 8343) |
정세균 국무총리,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주재 |
공적개발원조(ODA) 확대로 “더 큰 대한민국” 만들어 가겠습니다 ! 올해 ODA 규모 3조 7,101억원(전년대비 8.3%↑), ’30년까지 ODA 규모 2배 확대(’19년 대비) 코로나19 대응 등 보건 분야 지원 강화, 디지털 ·그린 뉴딜 ODA로 국제협력 선도 신남방·신북방 국가 추가 등 중점협력국 확대 재지정(24 → 27개국) ◈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1~’25년)」 수립 : 4대 전략목표 12개 중점과제 추진 - (포용) 인도적 지원 확대, 보건 ODA 역량 집중 등 사람 중심의 개발협력 - (상생) 녹색 전환을 위한 그린 뉴딜 ODA 확대 로드맵 마련, 기후변화 대응 논의 선도 - (혁신) 디지털 뉴딜 ODA와 공공행정 ODA 통한 개도국 행정·제도 혁신 지원 - (함께) 시민사회 협력 확대를 통해 정부- 시민사회 파트너십 공고화 ◈ ODA 중점협력국 재선정(24 → 27개국) - “선택과 집중”하는 ODA. 해당국에 양자 ODA 재원의 70% 이상 지원 - 정부 핵심대외정책 뒷받침, 신남방(인도)·신북방(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국가 추가 ◈ ’21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올해 ODA 규모 : 3조 7,101억원) -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교통·보건 분야 중심으로 사업 추진 - 보건 분야 대폭 증가(전년 대비 21.1%↑), 감염병 대응 국제협력 선도 -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 중점 지원, 신남방·신북방 국가 지원규모 증가 |
- 1 -
□ 정세균 국무총리는 1월 20일(수) 14시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주재했습니다.
*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하는 기구
※ 참석 : △(위촉위원) 최재훈·최윤재·홍은표·강명옥·권순만·윤미경·최창용·장혜영·양진옥·최아름 위원
△(당연직위원) 기재·문체·산업·여가·해수부 장관, 국조실장, 교육·과기정통·외교·행안·농식품·복지·국토부 차관, 한국수출입은행장,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향후 5년간 우리나라 ODA의 청사진이라 할 수 있는 ①「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1~’25년)」과 연간 양자 ODA 재원의 70% 이상을 지원할 수원국을 지정하는 ②「ODA 중점협력국 재선정안」을 심의·의결하였습니다.
ㅇ 이와 함께, 위원회는 42개 기관의 올해 ODA 사업 계획을 담은 ③「’21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과
ㅇ 몽골, 파키스탄 등 5개 국가의 ODA 전략을 보완하는 내용의 ④「5개 ODA 중점협력국 국가협력전략 수정안」도 함께 의결했습니다. 안건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1~’25년)
◈ ’30년까지 ODA 규모 2배 확대(’19년 기준), ’22년까지 보건분야 역량 집중* * 보건ODA : (’20년) 2,773억원 → (’21년) 3,358억원(21%↑) ◈ 그린 뉴딜 ODA* 비중 확대, 기후변화 대응 논의 선도(’21.5월 P4G 정상회의 개최 등) * 친환경 요소를 가미한 ODA로서,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및 우리 기업 참여 촉진 ◈ 「신남방정책 플러스(’20.11월)」* 등 대외전략과 연계를 통해 가시적 성과 창출 확대 * (주요 내용) ①포괄적 보건의료 협력, ②인적개발 지원, ③문화교류 증진, ④무역투자 기반 구축, ⑤농어촌 및 도시 개발, ⑥미래산업 육성, ⑦비전통적 안보분야 협력 ◈ 디지털 뉴딜 ODA와 공공행정 ODA를 통한 개도국 행정·제도 혁신 중점 지원 |
- 2 -
□ 정부는 “협력과 연대를 통한 글로벌 가치 및 상생의 국익 실현”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ㅇ ①포용적 ODA, ②상생하는 ODA, ③ 혁신적 ODA, ④ 함께하는 ODA 등 4대 전략목표와 12개 중점과제를 추진키로 하였습니다. 전략목표별 추진과제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목표 1
□ 항구적인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등 개도국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22년까지 보건·의료 ODA를 대폭 확대하고,
ㅇ ’20년 7월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코로나19 대응 ODA 추진전략」*의 이행을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 (주요내용) ▴보건·의료 ODA 역량 집중, ▴코로나19 극복 글로벌 협력 선도, ▴개발도상국 경제·사회 회복력 강화, ▴상생 발전의 생태계 구축
□ 이와 함께, 사람 중심의 ODA를 위해 분쟁국 및 아동·여성·난민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인도적 지원- 개발- 평화를 연계하여 효과성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17)900억원→(’18)1,391억원→(’19)1,432억원→(’20)1,677억원 →(’21)1,930억원
전략목표 2
□ 개도국 성장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가운데, 민관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예) 스마트시티 사업발굴 모델 : 정책자문 + LH공사(설계 및 운영) + EDCF (도로, 상수도 부대 인프라 지원) + 민간기업(도시 건설 및 ICT기술 제공)
□ 녹색전환 선도를 위해 新기후체제 적극 동참과 함께 P4G 정상회의(서울, ’21.5월) 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국제논의를 주도하고, 그린 뉴딜 ODA* 비중 확대를 위한 로드맵도 수립할 계획입니다.
* 친환경 요소를 가미한 ODA로서,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및 우리 기업 참여 촉진
- 3 -
□ 또한, ODA와 경협·통상·안보 등 대외전략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개도국과의 정상급 외교 시에도 ODA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전략목표 3
□ ICT·과학기술 및 공공행정 등 우리가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분야를 활용하여 개도국의 혁신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ㅇ 이를 위해 ICT와 ODA를 접목한 디지털 뉴딜 ODA와 공공행정 ODA를 통한 개도국 행정·제도 혁신을 중점 지원하겠습니다.
□ 또한, 정부(유·무상)- 시민사회- 기업(해외투자)의 활동과 장점을 연계한 패키지 사업*, 스타트업·소셜벤처의 혁신기술을 적용한 사업 등 창의적인 ODA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입니다.
* (예) ▴(유상) 음압병실 및 실험실 구축 ▴(무상) 진단키트 지원, 검사인력 역량강화 ▴(기업) 통신데이터 분석을 통한 감염자 이동경로 파악 ▴(시민사회) 기초 위생 인식제고
□ 아울러, 민간재원인 경협증진자금과 정책금융의 적극 활용, 혼합금융*을 통한 대규모 사업 진출과 함께 수출입은행 등 공공부문의 개발금융 기능도 더욱 활성화시키기로 하였습니다.
* (예시) 경협증진자금(EDPF) + 정책금융 + WB·ADB 등 협조융자 지원
전략목표 4
□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마련한 「정부-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본정책 이행방안(’21.1월)*」을 토대로 시민사회와의 협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특히 인도적 지원, 보건, 교육 등 시민사회 강점 분야에서의 협업을 중점 추진할 계획입니다.
* ▴효과적 개발협력 이행 ▴투명성·책무성 제고 ▴취약층 우선 지원 ▴국민 참여 확대 등
□ 국제협력에 있어서도, 5대 유엔 중점협력기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토대로 감염병 등 글로벌 난제 해결을 위한 국제논의를 선도하고,
* WHO, UNICEF, WFP(세계식량계획), UNDP(유엔개발계획), UNHCR(유엔난민기구)
- 4 -
ㅇ 다른 공여국과의 공통 관심 사업 발굴, 수원국·신흥국과의 삼각 협력 등으로 국제협력 방식을 다각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아울러, 기업 사회공헌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과 ODA의 연계는 물론, 지자체·대학·연구기관 등 모든 개발협력 주체와의 파트너십을 형성·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재원배분
□ 정부는 이러한 기본계획 추진과제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3차 기본계획 기간 동안의 재원배분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ㅇ 우리나라 ODA 총 규모를 ’19년(3.2조원) 대비 ’30년까지 2배 이상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ㅇ 유상원조와 무상원조는 40:60 원칙 하에서 국제동향 등을 감안하여 탄력적으로 조정해 나가겠습니다.
ㅇ ▴지역별로는 신남방·신북방 정책과의 정합성 등을 위해 아시아 및 아프리카 중심 기조를 지속하고, ▴분야별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22년까지 보건·의료 분야를 대폭 확대하고, 시민사회 협력 예산의 비중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2. ODA 중점협력국 재선정
◈ 중점협력국을 24→27개국으로 조정(5개국 추가, 2개국 제외) ◈ 4개 신남방·신북방국가 신규 추가* → 신남방·신북방정책 적극 뒷받침 * 인도(신남방),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상 신북방) 등 |
□ 정부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ODA 지원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ODA 중점협력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 이번 제3기 중점협력국 선정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병행·합산하여 진행하였고, 기존 24개국에서 3개국을 순증하여 27개국으로 조정하였습니다.
- 5 -
ㅇ 기존 중점협력국 중에서 사업추진 환경이 용이하지 않은 모잠비크와 아제르바이잔을 제외하는 대신,
ㅇ 향후 경제·외교적 협력 잠재력이 높은 인도, 이집트,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5개 국가*를 새로 추가하였습니다.
ㅇ 특히, 인도, 우크라니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4개 신남방·신북방 국가를 선정함으로써 정부의 핵심 대외정책인 신남방·신북방정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했습니다.
□ 앞으로 정부는 중점협력대상국 중에서 대륙별 거점국가를 지정·운영함으로써 선택과 집중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며,
ㅇ 올해 안에 5개 신규 중점협력국에 대한 국가협력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ODA를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 중점협력대상국 재선정 결과 >
2기 중점협력국(24개국) |
3기 중점협력국 재선정(27개국) |
|||
아시아 |
11 |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몽골, 라오스, 네팔, 스리랑카, 파키스탄, 미얀마 |
12 |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몽골, 라오스, 네팔, 스리랑카, 파키스탄, 미얀마, + 인도 |
아프 리카 |
7 |
가나,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세네갈 |
7 |
가나, 에티오피아,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세네갈, + 이집트 |
중앙아 |
2 |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
4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 |
중남미 |
4 |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
4 |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
3. ’21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확정액 기준)
◈ ‘21년 ODA 규모는 3조 7,101억원(‘20년 대비 2,831억원, 8.3% 증가) ◈ 교통 및 보건 분야를 중심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중점 지원 ◈ 보건 분야 ODA 규모를 전년대비 20% 이상 대폭 증가 |
□ 정부는 ’21년 시행계획을 통해, 올해 ODA 사업 규모를 ’20년 3조 4,270억원보다 2,831억원 증가한 3조 7,101억원으로 정하고,
- 6 -
ㅇ 42개 기관(10개 지자체 포함)에서 1,682개 사업(’20년 1,551개)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우리나라는 올해 총 89개 수원국을 지원할 예정이며, 아시아(40.5%), 아프리카(18.7%) 지역을 집중 지원할 계획입니다.
* 신남방(7,701→7,714억원) 및 신북방(2,122→2,251억원) 국가 사업 규모 증가
ㅇ 분야별로는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교통(15.3%), 보건(11.7%), 교육(9.9%) 분야를 중심으로 ODA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ㅇ 특히,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보건 분야 ODA 규모를 전년대비 20% 이상 대폭 증가(2,773 → 3,358억원, 21.1%↑)하였습니다.
4. 5개 ODA 중점협력국 국가협력전략 수정안(안)
◈ 5개 수원국의 정권교체, 신규 개발계획 발표 등 변동사항 반영 → 국가협력전략(CPS)*의 실효성 제고, 체계적·전략적 ODA 추진 * 중점협력국에 대한 중점협력분야 및 실행계획 등을 담은 국가별 중기지원전략 |
□ 정부는 중점협력국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협력전략*(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중점협력국에 대한 중점협력분야 및 실행계획 등을 담은 국가별 중기지원전략
□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정권교체, 신규 개발계획 발표 등이 있었던 몽골, 파키스탄, 파라과이, 콜롬비아, 가나 등 5개 수원국을 대상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국가협력전략을 수정·보완하였습니다.
ㅇ 정부는 앞으로도 중점협력국 정책환경 변화에 적기 대응함으로써 국가협력전략(CPS)의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붙임) 1.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추진방향
2. ’21년 국제개발협력 사업 개요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촉위원
- 7 -
붙임 1 |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추진방향 |
- 8 -
붙임 2 |
’21년 국제개발협력 사업 개요 |
□ (총규모) ’21년 ODA 확정액 규모는 약 3조 7,101억원으로, 총 42개 기관 1,682개 사업 추진
ㅇ (ODA 규모) ‘20년 확정액 3조 4,270억원 대비 2,831억원 증가
* ’20년 대비 8.3% 증가
ㅇ (참여기관) ‘20년 41개 기관 대비 1개 기관 증가
ㅇ (사업 수) ‘20년 1,551개 대비 131개 사업(8.4%) 증가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총ODA(십억원) |
2,378.2 |
2,439.4 |
2,635.9 |
3,048.2 |
3,200.3 |
3,427.0 |
3,710.1 |
|
양자간원조 |
1,682.7 |
1,947.9 |
2,130.0 |
2,387.7 |
2,493.8 |
2,775.0 |
2,881.9 |
|
비중(%) |
(70.8) |
(79.9) |
(80.7) |
(78.3) |
(77.9) |
(81.0) |
(77.7) |
|
유상원조 |
838.0 |
893.7 |
954.5 |
1,058.1 |
1,141.2 |
1,184.9 |
1,258.2 |
|
비중(%) |
(49.8) |
(45.9) |
(44.8) |
(44.3) |
(45.8) |
(42.7) |
(43.7) |
|
무상원조 |
844.7 |
1,054.2 |
1,175.5 |
1,329.6 |
1,352.6 |
1,590.1 |
1623.7 |
|
비중(%) |
(50.2) |
(54.1) |
(55.2) |
(55.7) |
(54.2) |
(57.3) |
(56.3) |
|
다자간원조 |
695.5 |
491.5 |
505.9 |
660.5 |
706.5 |
651.9 |
828.2 |
|
비중(%) |
(29.2) |
(20.1) |
(19.3) |
(21.7) |
(22.1) |
(19.0) |
(22.3) |
- 9 -
□ 주요 특징
ㅇ (유형별) 총 ODA 중 양자협력 對 다자협력간 비율은 약 78:22, 유상협력 對 무상협력간 비율은 44:56 수준
- ’20년 양·다자 비율(81:19)과 대비 다자협력 비율 3%p 증가
* 제2차 기본계획(’16~’20년)상 양·다자 비율 목표(75:25) 대비 양자협력 비율 다소 상회
- ’20년 유·무상 비율(43:57) 대비 유상협력 비율 1%p 증가
ㅇ (지역별) 아시아, 아프리카 중심으로 지원
- ’20년에 비해 아시아(39.4 → 40.5%), 중남미(6.3 → 7.3%) 등 대부분 지역의 비중이 증가한 가운데, 오세아니아(0.6 → 0.4%) 지역은 소폭 감소
* ‘20년 비중 : 아시아(39.4%), 아프리카(17.9%), 중남미(6.3%), 중동‧CIS(4.9%), 오세아니아(0.6%) 순
구 분 |
구분 |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
중동·CIS |
오세아니아 |
기타 |
규모(억원) |
유상 |
7,000 |
3,416 |
987 |
779 |
- |
400 |
무상 |
4,661 |
1,987 |
1,104 |
822 |
129 |
7,533 |
|
총계 |
11,661 |
5,403 |
2,091 |
1,601 |
129 |
7,933 |
|
비중(%) |
유상 |
55.6 |
27.2 |
7.8 |
6.2 |
0.0 |
3.2 |
무상 |
28.7 |
12.2 |
6.8 |
5.1 |
0.8 |
46.4 |
|
총계 |
40.5 |
18.7 |
7.3 |
5.6 |
0.4 |
27.5 |
* 중점협력국 24개국 대상 약 72.3%(유상 78.1%, 무상 64.2%) 지원(다지역, 미지정 제외)
- 10 -
ㅇ (분야별) 교통(15.3%), 보건(11.7%), 교육(9.9%) 순이며, 교통 분야가 전년 대비 다소 증가(1.7%p)
* ‘20년 비중 : 교통(13.6%), 교육(10.4%), 보건(10.0%), 농림수산(9.9%) 순
구 분 |
구분 |
교통 |
보건 |
교육 |
농림 수산 |
인도적 지원 |
공공 행정 |
에너지 |
수자원 및 위생 |
환경 보호 |
산업 |
통신 |
기타 |
규모 (억원) |
유상 |
4,030 |
1,700 |
835 |
824 |
- |
542 |
1,402 |
2,173 |
546 |
- |
128 |
401 |
무상 |
383 |
1,658 |
2,012 |
1,673 |
1,930 |
1,645 |
449 |
145 |
439 |
645 |
30 |
5,227 |
|
총계 |
4,413 |
3,358 |
2,847 |
2,497 |
1,930 |
2,187 |
1,851 |
2,318 |
985 |
645 |
158 |
5,628 |
|
비중 (%) |
유상 |
32.0 |
13.5 |
6.6 |
6.5 |
0.0 |
4.3 |
11.1 |
17.3 |
4.3 |
0.0 |
1.0 |
3.2 |
무상 |
2.4 |
10.2 |
12.4 |
10.3 |
11.9 |
10.1 |
2.8 |
0.9 |
2.7 |
4.0 |
0.2 |
32.2 |
|
총계 |
15.3 |
11.7 |
9.9 |
8.7 |
6.7 |
7.6 |
6.4 |
8.0 |
3.4 |
2.2 |
0.5 |
19.5 |
ㅇ (형태별) 프로젝트(70%) 사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지원
* ‘20년 비중 : 프로젝트(64.2%), 봉사단 파견(5.7%), 연수사업(5.5%) 순
구 분 |
구분 |
프로젝트 |
봉사단 파견 |
연수사업 (장학지원포함) |
프로그램 |
개발 컨설팅 |
민관협력 |
기타 기술협력 |
행정비용 |
기타 |
규모 (억원) |
유상 |
12,182 |
- |
- |
400 |
- |
- |
- |
- |
- |
무상 |
7,992 |
921 |
1,385 |
332 |
986 |
794 |
505 |
392 |
2,931 |
|
총계 |
20,174 |
921 |
1,385 |
732 |
986 |
794 |
505 |
392 |
2,931 |
|
비중 (%) |
유상 |
96.8 |
- |
- |
3.2 |
- |
- |
- |
- |
- |
무상 |
49.2 |
5.7 |
8.5 |
2.0 |
6.1 |
4.9 |
3.1 |
2.4 |
18.1 |
|
총계 |
70.0 |
3.2 |
4.8 |
2.5 |
3.4 |
2.8 |
1.8 |
1.4 |
10.2 |
- 11 -
ㅇ (신규/계속) ’20년에 비해 신규 사업의 규모(4,611억원) 및 사업 수(536개) 감소
* 신규사업 규모 : ‘20년 대비(5,737억원) 1,126억원 감소
신규사업 수 : ‘20년 대비(600개) 64개 감소
신규사업 예산 비중 : ‘20년 대비(18.4%) 4.7%p 감소
** ‘21년 신규사업 : 스리랑카 캔디터널 건설사업(217억원), 우즈베키스탄 지방의료기관 의료기자재 공급사업(200억원), 온두라스 과나하섬 그린에너지섬 구축지원(30억원) 등
구 분 |
구분 |
신규 |
계속 |
합계 |
구 분 |
구분 |
신규 |
계속 |
합계 |
|
규모 |
유상+MDB |
2,536 |
12,606 |
15,142 |
사업 수 |
유상+MDB |
31 |
157 |
188 |
|
무상+UN |
2,075 |
16,395 |
18,470 |
무상+UN |
505 |
989 |
1,494 |
|||
총계 |
4,611 |
29,001 |
33,612 |
총계 |
536 |
1,146 |
1,682 |
|||
비중 |
유상+MDB |
16.7 |
83.3 |
100.0 |
비중 |
유상+MDB |
16.5 |
83.5 |
100.0 |
|
무상+UN |
11.2 |
88.8 |
100.0 |
무상+UN |
33.8 |
66.2 |
100.0 |
|||
총계 |
13.7 |
86.3 |
100.0 |
총계 |
31.9 |
68.1 |
100.0 |
□ 사업 조정(연계 및 중복방지)
ㅇ (총괄) 총 140건, 341개 사업 조정(연계 및 중복방지)을 통한 ODA 효과성 및 효율성 제고(‘20년 총 123건, 283개 사업)
ㅇ (유·무상 연계) 예비연계사업 발굴 및 유무상연계협의회 활성화를 통한 연계 강화((’20년) 24건 67개 사업 → (‘21년) 29건 79개 사업)
ㅇ (무상간 연계) 주관기관- 시행기관 1:1 협의회 및 지역분과협의회를 통해 연계 건수 증가((‘20년) 88건 193개 사업 → (’21년) 108건 259개 사업)
- 재외공관 모니터링 결과 환류로 현장 중심의 연계조정 의견 반영
ㅇ (무상간 중복 방지) 중복 가능 사업에 대한 조정·통합 추진
((’20년) 11건 23개 사업 → (’21년) 3건 3개 사업)
- 12 -
붙임 3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촉위원 |
성 명 |
사진 |
주요 경력 |
최재훈 |
ㆍ現 TBO 헬스케어 대표이사 ㆍ前 UAE 왕립병원 최고운영책임자 ㆍ前 서울대학교 병원 자문위원 ㆍ前 ㈜ 이지메디컴 대표이사 |
|
최윤재 |
ㆍ現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ㆍ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ㆍ前 미시간주립대 조교수 |
|
홍은표 |
ㆍ現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ㆍ現 UN Academic Impact Korea 자문위원 ㆍ前 SDG- Education 2030 Steering Committee 아시아 태평양 대표 ㆍ前 OECD DAC 선임분석관 |
|
강명옥 |
ㆍ現 서울민주주의위원회 비상임위원 ㆍ現 (사)한국국제개발연구소 대표 ㆍ現 (사)민족사랑나눔 전문이사 |
|
이 근 |
ㆍ現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ㆍ現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ㆍ現 다보스포럼 한국위원회 의장 |
|
권순만 |
ㆍ現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원장 역임) ㆍ現 한국보건행정학회 회장 ㆍ前 아시아개발은행(ADB) Chief of Health Sector Group ㆍ前 보건경제학회 회장 |
|
윤미경 |
ㆍ現 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ㆍ現 국민경제자문회의 대외경제분과 위원 ㆍ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
최창용 |
ㆍ現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국제개발 정책학) ㆍ前 민주평통 상임위원 ㆍ前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실장 |
|
장혜영 |
ㆍ現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조교수 ㆍ現 국제정치논총 편집위원 ㆍ前 한국국제정치학회 연구이사 |
|
양진옥 |
ㆍ現 굿네이버스 미래재단 대표 ㆍ現 아동권리보장원 이사 ㆍ前 굿네이버스 회장 ㆍ前 국제개발협력 민간협의회(KCOC) 이사 |
|
최아름 |
ㆍ現 ’닷(Dot)‘ 소셜임팩트 디렉터(‘15년~) - 세계 최초 시각장애인용 점자워치 출시 - 케냐·인도 KOICA CTS 사업참여 ㆍUN World Summit Award 수상 |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