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menu
 
 

알림·소식

보도자료

※ 「데이터 친화형 보도자료 표준(안)」에 따라 한글파일 확장자를 .hwp에서 .hwpx로 사용하오니, 파일의 열람을 위해 뷰어를 내려받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내려받기

새만금 내부개발 본격 추진방안 가시화

  • 작성자 : 임은정
  • 등록일 : 2010.11.15
  • 조회수 : 9168
새만금 내부개발 본격 추진방안 가시화
- 제5차「새만금위원회」, 종합개발계획 수립상황 점검 및 유보방수제 축조방안 확정 -

□정부는 11월 15일 제5차「새만금위원회」(공동위원장 : 국무총리(정부),
  강현욱(민간))를 개최하여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 Master Plan) 수립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생태환경용지 등 유보구간 방수시설물 축조방안을 심의하였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은 지난 1월 28일 확정·발표한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의 개발비전 및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내년 초
   확정을 목표로 관계부처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ㅇ금일 위원회에서는 그간의 새만금 개발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새만금 종합개발
   계획”에 담기는 ‘동북아의 경제중심지’,‘명품 복합도시’를 구현할 다양한
   방안을 보고받고 의견을 조율하였다.

 ㅇ특히, 향후 명품 녹색도시, 수변도시로 탄생할 ‘아리울’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한 탄소감축 목표 및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 목표 설정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 바이모달트램 등 친환경첨단 교통수단을 활용하는 대중교통중심지구 도입방안,
     지능형 물관리 체계, 항만·도로·철도·공항 등 주요인프라 구축 방안 및 복합
     도시·관광·농업용지 등의 내부토지이용계획(안)이 보고되었다.

 ㅇ앞으로 전문가 의견수렴, 공청회(12월예정) 등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안)”을 마련하여 내년초에 새만금위원회를 통해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금번 위원회에서는 ’08.10월 「새만금개발 기본구상」변경으로 그간 축조
  여부 결정이 유보되었던 신재생에너지용지(11.5㎞)와 생태환경용지(11.8㎞)구간에
  대한 방수시설물 축조방안을 심의하였다.

 ㅇ신재생에너지용지 구간은 농식품부, 지경부, 국토부 등 관계기관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축조하지 않을 경우 지반유실 우려가 있고 조속한 간선도로망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어 방수제를 축조하기로 결정하였다.

 ㅇ생태환경용지 구간은 방수제 축조시 북측 독립호소의 수질악화 문제, 새만금 전체에
   대한 경제성, 생태환경용지의 주관부서 변경(농식품부→환경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농업용지 구간 2.5㎞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 9.3㎞에 대해서는 방수제를
   축조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ㅇ유보방수제 중 일부구간 미축조 결정과 관련하여 위원회에서는 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 미축조에 따른 주변지역의 수질, 방재, 매립고 상승 등에 대한 종합검토와 함께
    생태환경용지 연접조성, 필요구간에 대한 방수시설물 추가축조 등 다양한 방안
    검토를 통해 금년말까지 후속대안을 마련, 내년초 수립될 “새만금 종합개발계획”
    에 반영하기로 하고
  - 이를 위해 새만금기획단 주관으로 관계기관 및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TF를
    구성·운영하기로 하였다.

※ 참 고 1. 새만금 내부토지이용계획 구상(안)
2. 새만금 방수제 축조 계획도
3.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수립 추진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