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menu
 
 

알림·소식

보도자료

※ 「데이터 친화형 보도자료 표준(안)」에 따라 한글파일 확장자를 .hwp에서 .hwpx로 사용하오니, 파일의 열람을 위해 뷰어를 내려받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내려받기

[보도자료] OECD 2023년 ODA 잠정통계 발표

  • 작성자 : 보도자료관리자
  • 등록일 : 2024.04.14
  • 조회수 : 688

‘23년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31.3억불 지원


- 양자 23.0억불, 다자 8.3억불 실적 집계

국민총소득(GNI) 대비 ODA 비율은 0.18%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 11일(한국시각 22:00) 발표한 공적개발원조(ODA) 잠정통계에 따르면 ’23년도 우리나라 ODA 실적은 전년 대비 3.2억불(11.4%) 증가한 31.3억불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ODA 연도별 실적 (억불) >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잠정)

실적

23.6

24.6

22.5

28.7

28.1

31.3

(증가율)

(7.1%)

(4.4%)

(△8.7%)

(27.7%)

(△2.2%)

(11.4%)

ㅇ ’23년도 ODA 지원실적은 전년 대비 원·달러 환율 변동이 둔화*된 가운데 양자원조(23.0억불)와 다자원조(8.3억불)의 실적이 고르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 등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출자·출연 증가가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 원·달러 적용환율(증가율) : (‘21) 1,144.46 → (’22) 1,291.41(12.8%) → (’23잠정) 1,306.01(1.1%)

< 2023년도 우리나라 ODA 잠정통계 (백만불) >


구 분

2022

2023(잠정)

전년대비

증감률

비중(%)

▪ 총량 (A+B)

2,810

3,131

321

11.4%

100.0

- 양자 (A)

2,221

2,296

75

3.4%

73.3

무상원조

1,530

1,569

39

2.6%

(68.4)


유상원조

691

727

36

5.1%

(31.6)

- 다자 (B)

589

835

246

41.9%

26.7

□ 양자원조(23.0억불)는 무상원조(15.7억불) 및 유상원조(7.3억불) 모두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3.4% 증가했다.

ㅇ 무상원조는 교육·보건·공공행정 등 사회분야 지원(+0.8억불), 해외 긴급 구호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인도적 지원(+0.2억불)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2.6% 증가했다.


ㅇ 유상원조 또한 기후변화 대응·산업개발 등 수원국의 재정 수요 증가로 프로그램 차관 지원이 확대(+0.8억불)되면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 다자원조(8.3억불)는 전년도 출자·출연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더불어, 저소득·취약국의 코로나 대응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회복 지원 등을 위해 세계은행(WB) 및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출자·출연이 증가(+1.9억불)하면서 전년대비 41.9% 증가했다.


* 다자 지원실적 : (‘21) 7.0억불(+41.3%) → (’22) 5.9억불(△16.4%) → (’23잠정) 8.3억불(+41.9%)

ㅇ 우리 정부는 다자원조를 통해 전세계 개발재원 부족에 신속·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국제 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 의지를 적극 표명했다.


□ 한편, OECD DAC 31개 회원국*의 총 ODA 지원규모는 2,237억불을 기록하며 전년 2,107억불 대비 6.2%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에 이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및 인도적 지원이 지속 증가한 가운데,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에 대한 출자·출연이 증가한데 기인한다.

* 주요 국가 ODA 지원실적(억불) : ▲미국 660(+9%), ▲독일 367(+3%), ▲일본 196(+12%), ▲영국 191(+21%), ▲프랑스 154(△4%) 등

** 양자원조 전년대비 5% 증가, 다자원조 전년대비 11% 증가


ㅇ 전체 31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 지원 규모 순위는 14위로 나타났으며, 경제규모 대비 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18%로 전년에 비해 0.01%p 증가했다.

□ 정부는 긴축 재정 기조 속에서도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국가적 위상에 걸맞는 역할 수행을 위해 ’24년도 ODA 예산을 역대 최대 폭(31.1%)*으로 확대한 바 있어, 금년도 ODA 실적 규모 또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ODA 예산(증가율) : (‘22년) 3.94조원 → (’23년) 4.78조원(21.3%) → (’24년) 6.26조원(31.1%)

ㅇ 정부는 향후에도 ODA 규모를 계속 확대하여 분쟁·재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 기후변화 대응 등 국제개발협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대외정책과 연계한 전략적 ODA 추진을 통해 상생의 국익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