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menu
 
 

알림·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10.15
  • 조회수 : 46

지속가능발전 인지도, ‘07년 대비 2배로 ‘껑충’


▲ 새정부 첫 지속가능발전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6명,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감

▲ ‘지속가능발전이 개인 삶 영향준다(60.7%)’ ‘사회의 지속가능 운영은 보통(44.4%)’

▲ 현재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20년 후에는 ‘생태·환경·기후위기 대응’ 시책 우선 필요 인식


□ 국무조정실(실장 윤창렬)은 국민이 체감하는 지속가능발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전국 만 13세 이상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5개 분야*에 걸쳐 국민 인식도를 조사했다.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별 중요도 △정책 및 역할 평가 △교육 및 홍보 수요 △삶에 대한 태도 등


ㅇ 이번 조사는 2022년 환경부에서 국조실로 지속가능발전 업무가 이관된 이후 새 정부에서 처음 측정한 것으로 전국(17개 시도) 단위를 대상으로 하고 특히 미래 세대인 청소년층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개요 >


▪조사기간: ’25. 6. 27 ~ 7. 7 (11일간)   ▪조사대상: 전국 만 13세 이상 남녀 5,000명▪조사기관: ㈜케이스탯컨설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1.39%P



□ 국민 절반이상(57.6%)이 경제·사회·환경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알고 있고, 국민 10명 중 6명(60.5%)이 이에 공감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인지도는 ‘07년(25.3%)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ㅇ 연령별로는 30대 이하의 인지도·공감도가 50대 이상에 비해 낮고, 지역별로 볼 때는 서울·광주·경기·제주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인천·울산·충북·충남·전북·경북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 30대 이하 인지도(54.6%), 공감도(54.5%), 50대 이상 인지도(60.6%), 공감도(66.6%)


□ 지속가능발전목표 실현이 ’개인의 삶에 영향을 준다‘ 라는 답은 60.7%로 나타났으나,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는가는 ‘보통(44.4%)’ 이라는 의견이 ‘긍정(34.5%)’ 또는 ‘부정(21.1%)’보다 우세했다.


□ 지속가능발전시책 우선순위는 시점별로 엇갈렸다. 현재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5.56/7점), 생태·환경·기후위기 대응(5.54), 포용적 사회(5.40), 이해관계자 협력(5.28) 순으로 높은 점수를 줬으나, 20년 후에는 ‘생태·환경·기후위기 대응’(5.69/7점)을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ㅇ 응답자들은 17개 세부 목표* 중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이 현재 중요하고 20년 후 실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꼽았다.


* ‘불평등 해소’, ‘성평등 보장’, ‘지구촌 협력 강화’ 중요도·실현성 모두 낮다고 인식


□ 대다수는 지속가능발전의 중요한 역할 주체로▵개인(24.1%), ▵시민단체(14.4%)보다, 중앙행정기관(71.3%) ▵기업(45.4%), ▵지방자치단체(44.7%)를 제시하였으나,


ㅇ 주체별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노력도는 ▵시민단체(3.27점/5점), ▵중앙행정기관(3.13) ▵개인(3.08), ▵기업(3.06), ▵지자체(3.01) 순으로 평가하고 있어 역할 비중과 노력 주체에 대한 인식 수준에 격차를 보였다.


□ 한편, 국민 절반 이상(55.2%)이 지속가능발전 실천활동에 참여한다고 답했으며 친환경 소비(78.8%), 대중교통 이용 등 탄소감축 활동(77.8%)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아직 윤리적 소비(40.5%), 지역사회 활동 참여(35.7%)에는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국무조정실 지속가능발전추진단 관계자는 “주기적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지속가능발전 전략 수립 및 평가 등에 반영하여 국민이 공감하고 함께 실천하는 지속가능발전 정책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