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자살예방 국가행동 계획;
목표 2022년까지 자살률 50% 감축(2011년 최고점 대비) 2011년 31.1명, 2016년 25.6명, 2022년 17.0명(11년 대비 절반 수준)
- 자살예방의 과학적 근거 마련
-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자살예방정책을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5년간(12~16년)발생한 자살자 7만명 전수조사
- 국가 자살동향 감시체계 구축
- 자살의 진행과정에 따른 개입
- 단기적으로 이행가능하고 성과가 입증된 과제를 우선 추진하겠습니다.
- 고위험군 발굴 1. 지역사회 중심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2. 국가건강거진 중 우울증 검진 확대
- 적극적 개입,관리 1. 정신건강사래관리시스템 구축, 2. 찾아가는 마음건강버스 운영
- 자살시도 사후관리 1.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확대, 2. 자살유가족의 정서적 지원확대
- 대상별 자살예방정책 추진
- 대상자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 하나하나의 생명을 지켜내도록 하겠습니다.
- 노동자 및 실직자 자살예방
- 자살위험이 높은 집단에 대한 고려 강화
- 연령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